컨텐츠 바로가기

06.26 (수)

이 총리 "원전 지역·산업에 변화…후속대책 마련돼야"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원전 지역, 관련 산업에 완만하지 않은 변화 생겨"

뉴시스

【서울=뉴시스】최동준 기자 = 이낙연 국무총리가 21일 오전 서울 종로구 정부서울청사에서 열린 국정현안점검조정회의에서 모두발언을 하고 있다. 2018.06.21. photocdj@newsis.com


【서울=뉴시스】김지현 기자 = 이낙연 국무총리는 21일 정부서울청사에서 열린 국정현안점검조정회의에서 에너지 전환정책에 대한 후속조치와 보완대책을 논의했다고 밝혔다.

이 총리는 이날 회의 모두발언에서 "원전 의존도는 60여년에 걸쳐 완만하게 낮아지지만 원전 건설 예정 지역과 관련 산업 및 종사자에게는 완만하지 않은 변화가 생기게 된다"며 "원전 지역과 산업과 사람들에 대한 보완대책을 보고하고 의견을 구하고자 한다"고 말했다.

이 총리는 이어 "옳은 방향으로 가더라도 그 과정에서 생기는 걱정은 다른 방법으로라도 완화되거나 치유돼야 한다"며 후속 대책 마련 필요성을 강조했다.

이 총리는 그러면서도 원자력 에너지 비중을 낮추는 에너지 전환정책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문재인 대통령은 약 1년 전인 지난해 6월19일 탈원전을 선언하고, 신규원전 건설계획 백지화, 원전 수명연장 금지 등 계획을 발표한 바 있다.

이 총리는 "아시다시피 우리나라는 세계에 유례가 없을 만큼 원전이 밀집돼 있고, 원전의존도가 매우 높다"며 "그래서 원전 의존을 점진적으로 줄이고, 신재생에너지 비중을 늘리는 에너지 전환정책을 선택했다"고 언급했다.

이어 "지난해 공론화위원회도 신고리 원전 5·6호기 건설은 계속하되 원전의존은 줄여가야 한다고 결론지었다"며 "이에 한수원은 설계수명이 2012년에 끝난 월성 1호기를 폐쇄하고 신규원전의 건설은 하지 않기로 결정했다"고 강조했다.

또 "법원도 월성 1호기 수명연장 처분에 대해 지난해 취소 판결을 내린 바 있다"고 덧붙였다.

이날 회의에는 대통령 직속 4차산업혁명위원회 장병규 위원장도 참석했다. 이 총리는 "국정에 대한 이해가 넓어지도록 장 위원장을 모셨다"며"앞으로도 상정 안건과 관련되는 위원회나 기관 책임자를 함께 초청하겠다"고 밝혔다.

fine@newsis.com

▶ 뉴시스 빅데이터 MSI 주가시세표 바로가기
▶ 뉴시스 SNS [페이스북] [트위터]

<저작권자ⓒ 공감언론 뉴시스통신사.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