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29 (토)

부산 기업인 10명 중 8명 "남북 관계 개선 기업경영에 긍정적"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부산상의, 남북경협에 대한 기업인 의견 조사


남북·북미정상회담 이후 가능성이 높아진 남북경협에 대해 부산 지역 기업인들도 높은 기대감을 표시했다.

21일 부산상공회의소가 발표한 '남북경협에 대한 기업인 의견 조사'에 따르면 조사 기업인 중 78.4%가 최근의 남북관계 개선이 기업경영에 도움이 될 것이라는 긍정적 평가를 했다. 조사응답 기업인은 180명이다.

반면 '영향 없다'와 '부정적 이다'라고 응답한 기업인들은 각각 17.2%, 4.4%에 그쳤다.

남북경협에 대한 실제 조치가 이뤄진다면 대북 투자 또는 진출 의향이 있느냐는 질문에도 여건이 성숙된다면 투자 및 진출을 하겠다고 응답한 기업인이 49.4%로 가장 많았다. 이어 '모르겠음'(27.8%), '투자 및 진출 의향 없음'(22.8%)으로 나타났다.

이는 북한이 저임금 이외에도 접근성, 문화와 언어의 동질성 등으로 다른 해외지역보다 투자 효율성이 높기 때문으로 풀이된다. 지역 개성공단 진출기업 모두가 공단의 재개를 기대하고 있는 것도 같은 이유에서라고 상의 측은 설명했다.

대북투자 및 진출 유망업종은 가장 많은 비중인 24.3%의 기업인이 단기적으로 신발, 섬유 등의 노동집약 업종을 대북경협 유망 1순위로 꼽았다. '건설·토목업'과 '항만·철도·물류운송업’에 대한 응답도 각각 21.5%, 20.6%로 높은 비중을 차지했다.

이같은 응답은 장기적 관점에서 북한의 본격적인 개방을 염두에 둔 것으로 북한의 취약한 사회간접자본시설 확충과 북한과의 철도 연결로 항만물류 분야에서 부산의 역할 확대에 대한 기대감이 반영된 것으로 보인다.

남북경협 활성화를 위한 선결과제로는 '안정적 경영환경을 조성'해 달라는 요구가 전체 응답의 41.7%로 가장 많았다. 이전 경험에서 보듯 개성공단 폐쇄, 대북정책 변동성 등 정치적 리스크가 남북경협의 가장 큰 걸림돌이 될 수 있기 때문으로 풀이된다.

실효성 있는 피해보상에 대한 법과 제도화에 대해서도 28.6%의 기업인이 필요성을 인정했고, 정부차원의 남북경협 비즈니스 로드맵에 대한 요구도 11.4%나 나왔다.

부산상의 관계자는 "이번 조사에서 남북경협에 대한 지역 기업인의 긍정적인 의사를 확인할 수 있었다"면서 "앞으로 남북경협 추진위원회 발족 등을 통해 정부의 관련 정책 수립과 관련 사업 추진때 부산지역을 포함한 동남권 기업인들이 선제적으로 진출할 수 있도록 정부 및 관계 기관과 긴밀히 협력해 나가겠다"고 말했다.

bsk730@fnnews.com 권병석 기자

※ 저작권자 ⓒ 파이낸셜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