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29 (토)

서울 시·구의원 2030 비율 5배·2배 ‘껑충’, 취업처로 지방의회 뚫은 청년들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한겨레] 시의원 2014년 2명→2018년 11명

구의원 당선자도 17명→37명 2배

“청년문제 직접 풀자” 정치 참여

지방의회에 신선한 바람 기대

직업정치인 성장 발판 효과도

“2030 특별위 연대기구 필요”

"청년청 모일 공간 만들겠다”



한겨레

지난달 29일 서울 종로구 광화문광장에서 열린 2018 지방선거 청년후보자-청년유권자 정책협약 기자회견에서 참석한 청년후보들이 '청년의 정치참여 보장'을 촉구하고 있다. 이종근 기자 root2@hani.co.kr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6·13지방선거에서 당선된 서울 시의원과 구의원 가운데 20~30대 당선자 비율이 4년 전에 견줘 각각 5배와 2배로 높아진 것으로 나타났다. 광역의회와 기초의회에 입성한 2030 정치 신인들이 지방의회에 신선한 바람을 불어넣을지에 관심이 쏠리고 있다.

20일 <한겨레>가 중앙선거관리위원회의 당선자 통계를 분석해 보니, 서울시의원 당선자 110명 중 20대가 2명, 30대가 9명인 것으로 나타났다. 20~30대 당선자 비율이 전체 시의원의 10%를 차지한 것이다. 이들 비율은 50대 44.5%(49명), 40대 28.2%(31명), 60대 이상 17.3%(19명)에 견주면 여전히 미미한 수준이다. 하지만 2014년 서울 시의원 당선자 가운데 20~30대 비율이 1.9%(2명)이었던 점에 비춰보면, 5배로 뛴 것이다.

한겨레

※ 그래픽을 누르면 크게 볼 수 있습니다.


서울 25개 구의회의 20~30대 구의원 당선자 비율 역시 4년 전보다 높아졌다. 이번 선거에서 서울 구의원 당선자는 모두 423명으로 이 가운데 8.7%인 37명이 20~30대였다. 4년 전에는 이들 20~30대 당선자 비율이 4%였다.

지방의회에 20~30대 청년층 당선자가 늘어난 것은 직접 정치에 참여해 부조리한 사회 문제를 해결해 보려는 청년들이 많아졌기 때문이라는 분석이 나온다. 시민단체 ‘바꿈’(세상을 바꾸는 꿈)의 홍명근 활동가는 “청년실업률이 높은 상황에서 최근 채용 비리 등 청년들의 박탈감과 좌절을 부르는 각종 사회 문제가 불거져 나오자, 직접 정치에 참여해 제도를 바꾸겠다는 청년들이 많아졌다”며 “각 정당에서 젊은층 표심을 잡기 위해 20~30대를 경쟁적으로 공천한 것도 지방의회에 청년 진출 비율을 높인 원인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20~30대 당선자들은 청년층이 정치력을 행사하기 위해서는 함께 연대해야 한다고 목소리를 모은다. 이번 선거에서 최연소 서울시의원으로 당선된 민주당 이동현 당선자(27)는 “시의회에 진출한 2030들이 각각 개별 의견을 내는 것에 그친다면 의회 안에서 청년층의 영향력이 높아질 수 없을 것”이라며 “당선된 2030 서울시의원 10명이 소속 정당을 떠나 ‘서울시의회 2030 특별위원회’(가칭) 같은 기구를 꾸려 공동 목소리를 내면 좋겠다”고 제안했다. 민주당 소속 이경환 관악구의원 당선자(31)는 “지방자치제가 도입된 지 오래됐지만 기초의회는 각종 인사 청탁, 업무 추진비 전횡, 혈세로 해외연수 등 시민들 비판이 잦다. 시민들은 ‘지방의회가 왜 필요한지 모르겠다’고 말할 정도”라며 “관악구에 경로당이나 노인정은 많은데 청년들이 함께 모일 공간은 적다. ‘청년청’부터 만들겠다”고 말했다.

전문가들은 지방의회에 진출한 청년 비율이 높아지고 있는 것은 민주주의가 성숙하는 과정이며 지방자치제가 안착된 결과라고 설명했다. 유성진 이화여대 교수(정치학)는 “지금까지 한국에선 다른 직업에 종사하다가 그 직업을 발판으로 50대쯤 정치에 입문하면서, 정치를 일종의 ‘부업’으로 여기는 경향이 있어왔다”며 “민주주의가 정착된 선진국을 보면, 청년들이 지방의회부터 정치 경력을 쌓아 중앙정치로 진출하는데, 이런 나라처럼 지방의회에 진출하는 청년들이 늘고 있다는 것은 민주주의와 지방자치가 성숙해가고 있다는 증거”라고 말했다.

김미향 기자 aroma@hani.co.kr

▶ 한겨레 절친이 되어 주세요! [신문구독]
[사람과 동물을 잇다 : 애니멀피플] [카카오톡]
[ⓒ한겨레신문 :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