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27 (목)

대구 지역기업 78%, 근로시간 단축 부작용 우려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납기대응능력 떨어지는데다 실질임금 줄어 근로자 반발"


【 대구=김장욱기자】 대구지역 기업들은 근로시간 단축으로 납기 차질 및 임금 감소에 따른 근로자 반발 등 기업에 부정적 영향을 끼칠 것으로 우려했다.

대구상공회의소가 지역 상시근로자수 300인 이상 제조업체 18개사를 대상으로 근로시간 단축 관련 실태조사를 실시, 응답기업의 77.8%가 근로시간 단축 시행이 기업에 부정적 영향을 끼칠 것으로 응답했다고 20일 밝혔다.그 이유로 납기대응능력 약화와 실질임금 감소로 인한 근로자 반발을 들었다.

지역 300인 이상 제조기업의 경우 법 시행에 대비해 사전에 이미 준비를 마치거나 준비 중인 상태로 내달 법 적용에는 큰 무리는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고 설명했다.

근로시간 단축을 위한 대응방안(복수응답)으로 유연근무제 도입(55.6%), 신규채용(50%), 설비투자·작업공정 개선(38.9%), 불필요한 업무축소(38.9%), 교대제 형태 변경(27.8%) 등을 도입한 것으로 응답했다. 근로시간 단축에 따라 기존대비 채용인원이 증가할 것이란 응답이 전체의 55.6%에 달했다.

교대제 형태를 변경하는 기업 14개사도 기존대비 평균 1~2% 정도 인력이 추가로 필요하다고 응답, 근로시간 단축의 효과로 일부 고용이 증가할 것으로 나타났다.

근로시간 단축시 가장 필요한 정부의 기업 지원 대책에 관한 질문에 응답기업의 44.4%가 기존 근로자의 임금 감소분 보전 대책이 가장 필요하다고 답했으며, 27.8%가 신규 채용시 발생하는 인건비 지원이라고 답했다.

이재경 대구상공회의소 상근부회장은 "한시적 연장근로 추가 허용과 같은 법 적용의 유연성과 탄력적근로시간제도 단위기간 확대의 빠른 도입이 필요하다"고 지적했다.

gimju@fnnews.com 김장욱 기자


※ 저작권자 ⓒ 파이낸셜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