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30 (일)

낙동강 7개 물관련 기관 협의체 발족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낙동강 유역 물 관리 기관 간 소통과 협력 위해 ‘낙동강통합물관리협의회’구성

파이낸셜뉴스

낙동강유역환경청이 오는 20일 낙동강 유역 수량 및 수질 관리 7개 기관으로 구성된 ‘낙동강통합물관리협의회’를 구성해 통합물관리를 추진한다.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창원=오성택 기자】 환경부 소속 낙동강유역환경청은 물관리 일원화의 첫 단추로 ‘낙동강통합물관리협의회’를 구성해 운영한다.

낙동강청은 오는 20일 낙동강청에서 협의회 발대식을 열고 통합물관리 효과를 조기에 구현하기 위해 각 기관 간 소통을 진행한다고 19일 밝혔다.

협의회는 지난 8일 정부조직법 개정으로 물관리 일원화가 완료됨에 따라, 환경부 소속으로 새로 편입된 수량 관리기관과의 협력을 통한 안정적인 업무 이관을 위해 구성됐다.

협의회 참여기관은 낙동강청을 비롯한 대구지방환경청·낙동강홍수통제소·낙동강물환경연구소·한국환경공단 대구경북본부·한국수자원공사 낙동강권역본부·부산지방국토관리청 등 낙동강 유역 수량 및 수질 관리 7개 기관으로, 물관리 일원화에 따라 부산지방국토관리청을 제외한 나머지 기관은 환경부 소속 또는 산하 기관으로 재편됐다.

협의회는 정기적인 만남과 숙의를 통해 수량과 수질의 연계성을 강화하고 시너지 극대화가 가능한 과제를 도출할 계획이다.

또 도출된 과제는 단기 과제와 중장기 과제로 분류해 추진하며, 주기적으로 진행상황을 점검하기로 했다.

아울러 녹조와 홍수 등 낙동강 유역 물문제의 효과적인 해결을 위해 기관별 협조체계 구축 방안도 함께 모색하기로 했다.

신진수 낙동강청장은 “물관리 일원화는 수자원의 효율적 배분과 환경을 고려한 지속가능한 물관리의 전환점이 될 것”이라며 “협의회를 통해 기관별 의견을 충분히 수렴해 환경 정의 가치를 살릴 수 있는 통합물관리 효과를 구현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한편 기존 국토교통부 소속이던 낙동강홍수통제소와 한국수자원공사가 환경부 소속으로 바뀌고, 부산지방국토관리청의 광역상수도 인가 업무와 댐건설지역 내 행위허가 업무는 낙동강유역환경청으로 이관됐다.

ost@fnnews.com 오성택 기자

※ 저작권자 ⓒ 파이낸셜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