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30 (일)

대구지역 기업, 주 52시간 근무제 부작용 우려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뉴시스

【대구=뉴시스】 김덕용 기자 = 대구 성서산업단지 전경 2018.06.19(사진=뉴시스DB) photo@newsis.com


【대구=뉴시스】 김덕용 기자 = 오는 7월부터 시행하는 주 52시간 근무제 도입을 앞두고 대구지역 기업 10곳 중 7곳은 납기 차질과 임금 감소 등 부작용을 우려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19일 대구상공회의소에 따르면 지난달 17일부터 이달 14일까지 지역 300인 이상 제조업체 18곳을 대상으로 '근로시간 단축 관련 실태조사'를 벌인 결과 77.8%가 부정적 영향을 끼칠 것으로 전망했다.

생산성 저하로 인한 납기대응능력 약화(35.7%)와 실질임금 감소에 따른 근로자 반발(35.7%)을 원인으로 꼽았다.

추가 채용으로 기업의 인건비 부담 가중(14.4%)과 대체인력 채용의 어려움(7.1%) 등이 그 뒤를 이었다.

응답 기업들은 근로시간 단축에 따른 대응방안으로 유연근무제(55.6%)와 신규 채용(50%), 작업공정 개선(38.9%), 불필요한 업무축소(38.9%), 교대제 형태 변경(27.8%) 등을 도입한 것으로 답했다.

뉴시스

【대구=뉴시스】 김덕용 기자 = 표 근로시간 단축 법안 개선 필요 부분 2018. 06. 19. (사진=대구상공회의소 제공) photo@newsis.com


정부의 기업 지원 대책에 관한 질문에 응답 기업의 44.4%가 '기존 근로자의 임금 감소분 보전 대책'이 가장 필요하다고 밝혔다.

개선이 필요한 부분은 노사합의 시 연장근로 추가 허용(88.9%), 탄력근로 시간제도 기간 확대(55.6%) 등을 건의했다.

이재경 대구상공회의소 상근부회장은 "근로시간 단축에 따라 한시적 연장근로 추가 허용과 법 적용의 유연성, 탄력 근로제도 단위 기간 확대 등의 도입이 절실 필요하다"고 말했다.

kimdy@newsis.com

▶ 뉴시스 빅데이터 MSI 주가시세표 바로가기
▶ 뉴시스 SNS [페이스북] [트위터]

<저작권자ⓒ 공감언론 뉴시스통신사.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