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7.01 (월)

민주당 `8·25 전대`…`게임의 룰` 눈치싸움 시작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더불어민주당이 오는 8월 25일 새 당 대표를 뽑기로 했다. 특히 당 대표와 최고위원을 분리 선출하기로 당이 가닥을 잡으면서 당권주자들 셈법이 복잡해졌다. 아울러 당이 지역위원회 개편 작업을 동시에 진행하기로 하면서 정치인 출신 청와대 인사들이 '컴백'할지도 관심사로 떠오른다.

민주당은 18일 국회에서 비공개 최고위원회의를 열고 8월 25일 서울 송파구 올림픽체조경기장에서 전국대의원대회(전당대회)를 개최해 새 지도부를 선출하기로 결정했다.

민주당은 오는 22일 당무위원회를 열고 전당대회준비위원회(전준위)와 조직강화특위를 구성한다.

전준위는 대표·최고위원 선출 방식을 정한다. 또 조직강화특위는 각 지역위원회를 개편한다. 새로 뽑힌 지도부와 지역위원장은 임기가 2년이기 때문에 이들이 선출되면 당이 2020년 총선 체제로 바뀌는 결과를 맞게 된다. 특히 새 당 대표는 총선 공천권을 행사할 수 있어 당권 주자들 간 경쟁이 치열할 것으로 보인다.

당권 주자들은 선출 방식에 촉각을 곤두세우고 있다. 현재로서는 대표와 최고위원을 분리해 선출하는 방식이 유력하다. 당 관계자는 "분리 선출 방식으로 줄곧 얘기가 돼 왔기 때문에 그쪽으로 갈 것"이라고 했다. 하지만 공식화할 때까지 당권 주자 간 기싸움이 팽팽할 것으로 보인다.

출마를 결심한 한 비주류 중진 의원은 "모든 방법을 다 해봤는데 제도의 문제는 그때그때 장단점이 있다. 나는 어떤 방식이든 다 나간다"며 "(분리 선출 여부는) 아직 결정이 안 됐지 않으냐"고 말했다. 출마를 고려하는 한 비주류 의원 측은 "지난 전당대회가 2016년 8월 27일에 열렸는데 당시 룰 세팅이 7월 20일 이후에 완료됐다"며 "분리 선출 방식에 대해선 당에서 특별한 합의가 있는 것이 아니기 때문에 실제로 이렇게 결정될지는 지켜봐야 한다"고 말했다.

최고 득표자가 당 대표가 되고 차점자가 최고위원이 되는 '순수집단지도체제'에 비해 분리 선출은 출마자에게 다소 리스크가 큰 편이다. 단일 선출은 당 대표에 도전했다가 1위에 실패하고 5~6위에 머물러도 최고위원이 될 수 있지만, 분리 선출은 당 대표에 도전할지, 최고위원에 도전할지부터 결정해야 한다.

예를 들어 다선 중진 의원은 정치적 체면이 있으므로 최고위원 선거보다는 당 대표 선거에 나서야 하는 압력에 직면한다. 비주류에 속하는 중진들은 이 때문에 안전판이 있는 순수집단지도체제를 더 선호하는 편이다.

한 중진 의원은 "당 대표와 최고위원을 따로 뽑으면 당 대표 권한이 막강해 의사 결정이 민주적이지 못하게 된다"며 "(분리 선출로 결정되면) 전대 출마에 나서려고 했던 주자들도 자기 표를 계산해 보고 당 대표에 도전할지 최고위원에 도전할지 고민해봐야 할 것 같다"고 했다.

이와 함께 전국 253개 지역위원회에 대한 개편 작업도 관심사다. 현재 지역구 국회의원 117명은 당연직 지역위원장을 다시 맡는다. 다만 지역위원장 출신 청와대 비서관 여섯 명이 지역위원장을 다시 신청할지 주목받고 있다.

백원우 민정비서관(경기 시흥갑)·진성준 정무기획비서관(서울 강서을) 등이 그런 사례다. 이들은 청와대에 들어갈 당시 당적을 정리하고 지역위원장직을 내놨지만 자신의 보좌관 등을 직무대행에 앉혔고 당이 이를 감안해 줬다. 다만 이번에도 이를 인정하면 지나친 특혜라는 주장이 당내에서 일고 있다.

[김효성 기자 / 수습기자 = 윤지원 기자]

[ⓒ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