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29 (토)

日 언론 "美, 北에 수주 안에 핵개발 내용 신고 요구"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머니투데이 김영선 기자] [요미우리신문 "폼페이오 장관, 고위급 협의에서도 이런 내용 거듭 압박 계획"…신고 내용 검증방법 놓고 갈등 야기될 수도]

머니투데이

북한 조선중앙TV가 지난 14일 북·미 정상회담의 전 과정을 기록영화 형식으로 보도 했다. 중앙TV는 '경애하는 최고영도자 김정은 동지께서 미합중국 대통령과 역사상 첫 조미 수뇌상봉과 회담 진행 주체'라는 제목으로 평양국제공항에서 싱가포르 도착, 북미정상회담 등 시간 순서에 따라 편집했다. (SBS뉴스 캡처) 2018.6.15/뉴스1 <저작권자 © 뉴스1코리아,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미국이 북한 측에 수주일 안으로 핵 개발 전체 내용을 신고할 걸 요구했다고 18일 요미우리신문이 보도했다.

신문은 미국 정부 소식통을 인용, 마이크 폼페이오 미 국무장관이 이르면 이번 주 안에 예정한 북한 고위급과 협의하는 자리에서 핵 개발 계획의 전모를 조기에 신고하라고 거듭 압박할 예정이라고 전했다.

해당 소식통은 "미국의 이런 요구가 북한이 비핵화에 신속히 나설 것인지를 가늠할 수 있는 판단 재료로 삼으려는 목적도 있다"고 설명했다.

다만 미국의 요구에 북한이 어떻게 대응하고 있는진 아직 명확지 않다고 신문은 덧붙였다.

고노 다로 일본 외상도 전날 NHK '일요토론'에 출연해 "폼페이오 장관이 평양을 방문했을 당시 핵 보유고와 생화학무기 등 대량살상무기, 미사일과 모든 연관 인프라를 투명하고 되돌릴 수 없는 형태로 제거할 걸 촉구하며 47개 요구 목록을 북한에 건넸다"고 밝혔다.

트럼프 행정부는 북한의 핵 개발 신고를 받은 뒤 이를 토대로 이른바 '비핵화 로드맵'을 마련할 방침이다. 앞서 폼페이오 장관이 언급한대로 '2년 6개월 이내'라는 시한을 설정해 북한의 비핵화 프로세스를 진행한다는 계획이다.

지난 14일 폼페이오 장관은 북한의 핵 개발과 관련해 "가능한 조기에 전모를 파악하는 게 극히 중요하다"며 "수주일 안에 행할 노력의 하나로서 전체 내용의 파악에 이르도록 북한 측과 함께 노력하겠다"고 말했었다.

아울러 폼페이오 장관은 북한의 핵무기 보유량과 보관 장소, 핵 개발 기술, 핵물질 제조시설 등을 검증하기 위해 미국 이외의 관계국에서도 전문가를 부를 계획이라고 했다. 보리스 존슨 영국 외무장관은 비공식 자리에서 폼페이오 장관이 북한 핵 프로그램을 해체에 영국의 참여를 요구했다고 거론한 바 있다.

북한이 핵 정보 공개에는 응할 것으로 보이지만 신고 내용이 사실인지 아닌지를 검증하는 사찰과 권한 및 조건을 놓고는 미국과 이견을 보일 가능성이 있다. 2007년 10월 6자회담에서 핵 계획 신고에 동의했던 북한은 이듬해 6월로 신고를 연기했고 그마저도 고농축 우라늄 실태와 핵탄두 수 등을 포함하지 않아 논란을 일으켰다.

김영선 기자 ys8584@mt.co.kr

<저작권자 ⓒ '돈이 보이는 리얼타임 뉴스' 머니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