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30 (일)

올 여름 전력 ‘여유’…최대수요보다 공급전력 28GW ‘넉넉’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정비 중 원전ㆍ석탄화력 재가동시, 공급예비력↑



[헤럴드경제=배문숙 기자]올해 여름의 전력 공급상황이 무난할 것이라는 분석이다.

18일 전력통계정보시스템과 업계에 따르면 올 여름철(6∼8월) 설비용량 예상치는 약 118GW 수준일 것으로 예측됐다. 설비용량이란 국내 모든 발전설비를 동원해 생산해낼 수 있는 전력 규모를 의미한다.

헤럴드경제

[사진=헤럴드DB]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겨울철인 올해 2월 기록했던 역대 최대 전력수요가 약 87.6GW였음을 감안해 올 여름 예상 최대 전력수요를 90GW로 가정한다면, 28GW 정도 여유가 있는 셈이다. 올 여름철 최대 전력수요가 겨울철 최대 전력수요를 크게 넘어서지 않을 것으로 예측한 이유는 대부분 겨울철에 그 해의 최대 전력수요 기록이 나오기 때문이다.

실제로 지난 10년간 최대 전력수요를 기록한 시점을 살펴보면 ▷2009년 12월(6만6797MW) ▷2010년 12월(7만1308MW) ▷2011년 1월(7만3137MW) ▷2012년 12월(7만5987MW) ▷2013년 1월(7만6522MW) ▷2014년 12월(8만154MW) ▷2015년2월(7만8790MW) ▷2016년 8월(8만5183MW) ▷ 2017년 12월(8만5133MW) ▷2018년 2월(8만8238MW)로, 2016년을 제외하고는 계절상 모두 겨울이었다.

지난 10년간 매년 여름철 최대 전력수요와 설비용량 추이를 살펴보면, 공급이 수요를 앞지르는 방향으로 그 간극이 점차 벌어지는 추세다. 2008년 여름철에는 설비용량이 7만353MW, 최대전력 수요가 6만2794MW로 그 차이가 7559MW였지만, 2013년에는 1만1066MW, 2014년 1만2873MW, 2015년 1만9530MW, 2016년 1만4586MW, 2017년 2만8883MW로 갈수록 간극이 커지고 있다.

설비용량에서 고장이나 예방 정비를 위해 일시적으로 가동을 멈춘 설비들의 발전량을 뺀 개념인 ‘공급능력’에서 최대 전력수요를 뺀 ‘공급예비력’도 이번 달 9∼26GW 범위인 것으로 나타났다.

업계에서는 현재 정비 중인 원전과 석탄화력 발전설비가 다시 가동되면 공급예비력이 더욱 늘어날 것으로 보고 있다. 업계 추산으로 7월에 7.4GW, 8월에 2.8GW 등 올 여름철에 약 10GW 이상이 더해질 전망이다. 공급예비력이 5GW 밑으로 떨어져 전력수급 위기경보가 발령되는 상황도 지난 2013년 8월(당시 공급예비력 4.7GW) 이후 아직 없었다.

oskymoon@heraldcorp.com

- Copyrights ⓒ 헤럴드경제 & heraldbiz.com,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