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29 (토)

"서울 대기질 악화 해법은 전기차"…2025년까지 250만대 보급 가능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서울硏 "온실가스·오염물질 줄이려면 전기차 보급해야"

"작년 서울시 전기차 등록대수 전체 차량의 0.15%뿐"

"운행단계 인센티브와 충전기 시설 인프라 확대 필요"

뉴시스

【서울=뉴시스】배민욱 기자 = 서울의 온실가스와 오염물질을 줄일 수 있는 정책 수단으로 전기차의 적극적인 보급이 필요하다는 주장이 제기됐다.

전기차는 전기만을 동력으로 움직이는 친환경자동차다. 자동차에서 배출되는 배기가스나 소음이 거의 없다. 1873년 가솔린 자동차보다 먼저 제작되긴 했지만 실용화되지 못했다. 그러나 최근 환경오염과 자원부족 문제가 심각히 대두되면서 각국의 자동차업체들의 개발경쟁이 치열해지고 있다.

서울연구원은 10일 "친환경자동차 보급정책을 수립할때 다른 차종보다 우선해 전기차를 주요 보급 대상으로 선정할 필요가 있다"고 밝혔다.

실제로 서울의 대기질 약화에 교통부분이 상당부분 기여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서울연구원에 따르면 지난 2013년 기준으로 서울시 대기 오염물질 배출원중 도로이동오염원이 47.4%를 차지하고 있다. 혼잡통행료 징수, 공유교통 활성화와 같은 정책의 적용으로 교통부문 대기오염물질량은 감소하는 추세이지만 여전히 그 비중은 높다.

승용차·택시·버스와 같은 동력교통수단이 차지하는 통행분담률은 지난 2014년 기준으로 56%를 기록했다. 미세먼지(PM10)와 초미세먼지(PM2.5) 오염도도 주변 선진국에 비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세계 주요도시에 비해 서울의 전기차 보급률을 떨어진다.

지난해 12월 기준으로 국내에서 자동차 등록대수의 약 0.11%만이 전기차로 등록돼 있다. 지역별로 보면 우리나라에서 점유율이 가장 높은 지역은 제주도(1.8%)다. 서울은 단지 0.15%에 불과하다. 이는 노르웨이의 베르겐(36.0%), 오슬로(47.7%)와 같은 해외 주요 도시에 비하면 매우 낮은 수준이다.

최근 정부도 2022년까지 35만대의 전기차를 보급하겠다고 발표했다. 서울시도 2022년까지 5만대 이상, 2025년까지 10만대 이상의 전기차를 보급한다고 선언했다.

환경부 연구결과 전기차의 이산화탄소(CO2) 배출량은 휘발유차의 절반 수준으로 분석됐다. 전기차의 기술발전도 빠르게 이뤄지고 있어 가까운 미래에 내연기관 차량을 대체할 가능성이 높은 차량으로 평가된다.

서울시가 적극적인 보급계획을 수립한다면 2025년까지 승용차 243만대, 버스 7200대, 택시 7만대를 보급해 서울 도심 차량의 84.7%를 전기차로 대체가 가능한 것으로 나타났다.

뉴시스

전기차용 전력 소모량을 분석해 보면 서울시 총 전력량의 6.4% 정도를 차지할 것으로 추정된다. 특히 전기차의 충전 전력수요가 하계와 동계 촤대전력 소비시간과 중첩되지 않도록 충전 시간의 고른 배분이 필요하다.

차량이 운행되지 않을 때 충전이 이뤄진다는 가정 하에 시간대별 전력수요를 추정한 결과 2050년에 전기차가 최대로 보급될 경우 하계 출·퇴근시간대 전력의 4.1%를, 동계 출·퇴근시간대 전력의 4.3%를 사용하는 것으로 조사됐다. 시간대로 구분하지 않은 총 전력수요에 비해 약 2% 정도 낮은 수치다.

문제는 전기차 보급 확대를 위한 서울시의 방안이다. 우리나라는 민간 부문의 전기차 보급이 다른 나라에 비해 부진해 시장의 성장 속도가 더딘 편이다

서울연구원은 "서울시 등록차량의 대부분을 차지하는 민간 부문에서의 전기차 보급을 확대해야 한다"며 "운행 단계의 인센티브 확대 정책이 필수적이다. 잠제적인 수요층을 대상으로 전기차의 경제적·환경적 이익을 홍보하는 것도 중요하다"고 설명했다.

이어 "택시, 시내버스와 같은 상용 전기차는 긴 주행거리로 인해 잦은 충전이 요구된다"며 "내연기관 차량처럼 도심 어디에서든지 손쉽게 충전하기 위해서는 충전기 인프라 확대와 환경 개선이 필수적"이라고 강조했다.

서울시도 2025년까지 각각 1500기 이상의 급속·완속 충전기를 설치한다고 발표했다. 계획대로 된다면 서울시내 반경 600m 안에서는 어디든지 전기차 충전이 가능해진다는 얘기다.

서울연구원은 "인지도가 높은 지점에 충전기를 설치해 접근성을 향상시키고 고성능 충전기를 도입해 충전시설의 유지관리를 강화해야 한다"며 "공동주택에 신규로 설치하는 민간(완속) 충전기를 일반 이용자도 공유하게 하는 조치가 필요하다"고 밝혔다.

mkbae@newsis.com

▶ 뉴시스 빅데이터 MSI 주가시세표 바로가기
▶ 뉴시스 SNS [페이스북] [트위터]

<저작권자ⓒ 공감언론 뉴시스통신사.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