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차 산업혁명뿐만 아니라 산업과 경제의 성패는 속도가 좌우한다. 산업은 정책과 규제에 민감하다. 이미 자리 잡은 산업은 영향이 덜 하지만 신산업과 융합 산업은 국가 단위 규제에 막히면 글로벌에서 경쟁력을 잃게 된다. 현장을 뛰는 기업과 법 테두리 안에서 정책을 집행하는 정부 인식은 다를 수밖에 없다. 여기에 과거에 툭하면 입법안을 볼모로 삼는 국회 무지까지 겹치면 국가 산업은 제대로 굴러갈 수 없다.
미래 산업 흐름에 잘 대응하려면 행정부 차원의 노력만으로 부족하다. 특히 첨단 산업과 융합 산업은 산업 간 교류 및 협력뿐만 아니라 부처 간 협업, 법·제도 개정 등이 중요하다. 산업·경제계는 법·제도 충돌, 상반된 규제, 부처 이기주의 등에 많은 우려를 나타낸다. 국회에 이를 정리해 줄 수 있는 기능이 있지만 지금까지 관례를 보면 기대하기 어려운 것이 현실이다. 이에 따라서 국회도 첨단 미래 산업에 대한 이해를 높이고 관심을 기울여야 한다.
국회 4차 특위는 이 같은 점에서 큰 의미를 남겼다. 국회가 여야를 막론하고 같은 주제로 미래 산업을 함께 고민해 봤다는 것도 이례다. 4차 특위 활동은 28일로 종료됐지만 앞으로 더 의미 있고 다양한 형태로 미래 산업을 위한 특위로 부활해야 한다. 크고 작은 국회 특위가 정기적으로 만들어져야 한다. 국회는 폐쇄성이 짙다는 인식이 강하다. 이번 4차 특위 경험이 권위만을 내세우며 현상만 갖고 다투는 국회가 아니라 선결 과제를 미리 제안할 줄 아는 미래 지향형 국회로 탈바꿈하는 계기로 작용하길 기대한다.
[Copyright © 전자신문. 무단전재-재배포금지]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