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29 (토)

원하는 부위에만 정확하게 약물 전달…캡슐형 마이크로로봇 개발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 DGIST 최홍수 교수팀, 캡슐형태 구조물과 박테리아 모사한 추진체 활용

- 세포 및 약물전달 외부 영향 최소화해 망막변성 등 치료에 활용 기대


[헤럴드경제=구본혁 기자] 국내 연구진이 세포와 약물을 봉인해 인체 내 원하는 부위에 전달할 수 있는 캡슐형 마이크로로봇을 개발했다.

대구경북과학기술원(DGIST) 로봇공학전공 최홍수 교수팀은 스위스 취리히연방공대 브래들리 넬슨 교수팀과 공동연구를 통해 세포 및 약물을 봉인할 수 있는 캡(cap) 구조물과 박테리아의 움직임을 모사한 추진체를 활용한 캡슐형 마이크로로봇을 개발했다고 23일 밝혔다.

헤럴드경제

캡슐형 마이크로로봇의 모식도. 뚜껑을 열고 닫을 수 있는 형태의 캡슐형 마이크로로봇으로 세포 및 약물 전달의 외부 영향을 최소화했다.[제공=DGIST]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전 세계적으로 의료시장 및 의료기기에 대한 기술개발이 가속화되면서 몸속 원하는 부위에 치료약물이나 세포를 전달할 수 있는 마이크로로봇과 같은 첨단의료로봇 분야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지금까지 대부분의 세포 및 약물 전달용 마이크로로봇은 로봇 외부 표면에 다양한 방법으로 탑재하거나, 생분해성 재료와 세포 혹은 약물을 혼합해 마이크로로봇으로 제작한 뒤 생분해성 재료가 분해되면서 세포나 약물을 방출하는 방법 등의 형태로 개발되고 있다.

이런 형태들은 마이크로로봇을 인체 내에서 조작할 때 세포와 약물이 외부 환경에 의해 손실될 수 있다는 점이 한계로 지적돼왔다.

이를 극복하기 위해 연구팀은 마이크로로봇 머리 부분에 세포나 약물 등을 봉인해 뚜껑을 열고 닫을 수 있는 캡 형태의 구조물과 박테리아의 꼬리 움직임을 모사한 추진체를 융합한 캡슐형 마이크로로봇을 개발했다.

연구팀은 미세전자기계시스템(MEMS) 기술 가운데 3차원 레이저 리소그래피 시스템을 이용해 3차원 폴리머 구조물을 제작했다. 여기에 외부 자기장으로 마이크로로봇을 구동할 수 있도록 자성 물질인 니켈과 생체적합 물질인 티타늄을 캡슐형 마이크로로봇 표면에 증착시켜 캡슐형 마이크로로봇으로 제작했다.

자기장을 이용한 캡슐형 마이크로로봇 실험에서 수에서 수십 마이크로미터(㎛, 100만분의 1m) 크기의 입자를 ‘포집과 방출 기능’으로 이송했으며 실제 후각신경세포를 봉인해 세포가 살아서 정확한 위치에 전달하는 생체적합성 실험도 성공했다.

개발한 캡슐형 마이크로로봇은 유체의 소용돌이 현상을 이용해 세포나 약물을 담아 원하는 부위에서 방출할 수 있어 외부 환경에 따른 세포나 약물의 손실을 최소화하고 정확한 양의 세포나 약물을 전달할 수 있다. 눈이나 뇌와 같은 인체 내 흐름이 적은 유체에서 조작해 망막변성과 같은 질병 치료에 활용할 것으로 기대된다.

최홍수 교수는 “캡슐형 마이크로로봇을 이용하면 세포와 약물을 봉인한 뒤 원하는 부위에서 방출할 수 있어 외부 환경에 따른 세포와 약물이 손실과 변성을 막을 수 있다”며 “앞으로 의공학적으로 다양하게 응용할 수 있도록 후속연구를 진행하겠다”고 말했다.

이번 연구결과는 바이오소재 분야 국제학술지 ‘어드밴스드 헬스케어 머티리얼즈’ 5월 9일자 표지논문으로 게재됐다.

nbgkoo@heraldcorp.com

- Copyrights ⓒ 헤럴드경제 & heraldbiz.com,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