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28 (금)

[사설]의견 다르다고 정치인 폭행, 후진적 테러다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14일 열린 제주도지사 후보 토론회에서 재선에 도전하는 무소속 원희룡 후보가 김모 씨에게 폭행을 당했다. 제주 제2공항 건설에 반대하는 단체의 부위원장을 맡고 있는 김 씨는 많은 사람이 지켜보고 방송 중계까지 하는 토론회장에서 원 후보에게 계란을 던진 뒤 두 차례 주먹으로 얼굴을 가격했다. 원 후보는 소셜네트워크서비스(SNS)에 “걱정할 만큼 다치지 않았다”는 글을 올렸지만 이번 사건은 그냥 지나칠 일이 아니다. 제2, 제3의 정치인 폭행 사건이 일어나지 말란 법이 없다.

김 씨는 원 후보를 폭행한 뒤 흉기로 자해했다. 자신의 주장을 알리려는 정치적인 동기에서 범행한 확신범이다. 자신과 생각이 다르다고 해서 폭력을 행사하는 것은 법치국가에선 있을 수 없는 일이다. 이런 폭력은 전염성이 있다. 9일 전, 국회에서 단식 농성 중이던 자유한국당 김성태 원내대표도 폭행을 당했다. 장소도 경비가 삼엄한 국회 내 본관 앞이었다.

폭력은 어떤 이유로도 정당화될 수 없다. 특히 정치폭력은 일방적으로 자신의 생각을 강요함으로써 건강한 여론 형성을 방해하고 여론 왜곡을 초래한다. 원 후보에 대한 폭력은 지방선거 과정에서 자행됐다는 점에서 대의민주주의에 대한 테러나 마찬가지다. 정치폭력을 가볍게 여기면 더 심각한 정치테러를 부추길 우려가 크다. 두 사건의 가해자를 일벌백계해 폭력으로는 아무것도 해결할 수 없음을 보여주고 사법당국과 선거관리위원회는 재발 방지를 위해 각별한 대책을 마련해야 한다.

민주주의는 관용과 자유의 정신에 뿌리를 두고 자란다. 다른 것은 틀린 것이 아니고 나쁜 것은 더더욱 아니다. SNS를 중심으로 진영 간 적대적인 편 가르기와 언어폭력이 난무하는 우리 사회의 병리 현상이 폭력을 부르고 있다. 정치폭력을 행사하고 공포 분위기를 조성하는 것을 당연시하는 사람들이 늘어나는 것도 우려스럽다. 뭔가 정상이 아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