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조업 일자리 감소 사태는 최저임금 인상 파문으로 3월 11만6000명이나 줄어든 도소매·음식숙박업과는 차원을 달리하는 적신호다. 우리 경제의 근간인 제조업이 흔들리면 수출과 성장 엔진도 멎는다. 통계에 드러난 실상은 참담하다. 조선업을 포함하는 기타운송장비 제조업의 상용 근로자는 11분기째 감소했다. 섬유업에서만 5689명, 1차 금속제조업에서는 3130명이 줄었다.
충격적인 지표는 또 하나 있다. 경제협력개발기구(OECD)가 세계경기 흐름을 분석했더니 5∼6개월 뒤 경기 흐름을 예고하는 우리나라의 경기선행지수(CLI)는 1월에 이어 2월에도 99.8에 머물렀다. 지난해 5월 100.9를 보인 이후 줄곧 내리막길을 달리고 있다. 세계 주요국은 다르다. OECD 평균 경기선행지수는 2016년 7월 이후 계속 상승 추세다. 우리만 역주행하는 꼴이다. 이 지표는 세계 평균 성장률에 크게 못 미치는 우리 경제가 더 나빠질 것임을 예고한다.
한국 경제의 역주행은 ‘거꾸로 가는’ 정책에서 비롯됐다. 규제·노동개혁은 사라지고, 최저임금 인상·근로시간 단축·상법 개정을 통한 노조의 경영참여 허용 등 온갖 반기업 정책만 요란하다. 애먼 기업을 상대로 적폐 청산 구호가 들끓는다. 보호무역과 미국 기준금리 인상으로 정신을 바짝 차려도 모자랄 판에 기업을 잡도리하고 있으니 경제가 살아날 턱이 있겠는가. 기업 투자는 식고, 경제는 더 추락할 수밖에 없을 것이다. 대통령과 청와대 참모들은 대통령 집무실에 놓인 일자리 상황판만 쳐다보지 말고 산업 현장에 나가 실상을 제대로 살펴보기 바란다.
ⓒ 세상을 보는 눈, 세계일보 & Segye.com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