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24 (월)

서울공공자전거 따릉이 새 앱 6월 출시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SNS 간편로그인, 간편결제 OK...포털, SNS 아이디로 간편로그인도 가능

[아시아경제 박종일 기자] 회원 수가 70만에 달하는 서울공공자전거 ‘따릉이’가 복잡했던 회원가입절차를 6월부터 싹 없앤다.

외국인 관광객을 위해 1일(24시간)동안 반납 없이 이용 가능한 1일 종일권도 출시한다.

따릉이를 위탁 운영 중인 서울시설공단(이사장 이지윤 www.sisul.or.kr)은 6월부터 한결 쉬워진 따릉이 앱을 공개, 그간 이용자들의 목소리를 반영해 대폭 개선된 서비스를 제공하겠다고 밝혔다.

따릉이는 대표적인 친환경 생활교통수단인 자전거 이용활성화를 위해 서울시가 운영하는 공공자전거로, 2018년 4월 현재 회원 수는 69만 명, 총 대여건수는 822만건을 돌파할 정도로 인기다.

다만 무인으로 운영되는 시스템 상 따릉이 이용 시 회원가입, 본인인증 등의 절차에 불편을 느끼고 간소화를 요구하는 목소리가 있어왔다.

첫째, 본인인증 없이 휴대전화번호 유효성만 확인되면 회원가입이 가능해진다. 포털 또는 SNS 아이디(네이버, 카카오톡, 페이스북)를 이용한 간편 로그인, 페이코, 카카오페이사가 제공하는 간편 결제 서비스로 이용권을 구매할 수 있게 된다.
아시아경제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둘째, 외국인 관광객을 위해 1일(24시간)동안 반납 없이 이용할 수 있는 ‘1일 종일권’을 도입하고, 사내 행사 등에 따릉이를 이용할 수 있도록 법인의 단체구매 서비스도 지원된다.

셋째, 기본이용시간이 끝난 후 초과 요금을 부담하는 단위도 기존 30분에서 5분으로 단축해 요금부담도 낮췄다.

아울러 회원인지 비회원인지, 이용권이 있는지 없는지 이용자 상태별로 필요한 서비스만 쏙쏙 골라 맞춤형 안내를 제공하는 등 앱 디자인과 기능도 획기적으로 개선했다.

서울시설공단은 새로운 따릉이 앱 출시에 앞서 모니터링단을 5월 11일까지 앱과 홈페이지를 통해 모집한다. 개선된 앱으로 따릉이를 이용(5.14~23)하면서 불편사항과 의견을 작성해 공단에 제출하면 된다. 안드로이드폰을 이용하는 1년 정기권 이용자만 참여할 수 있고, 의견을 제출한 요원에게는 정기권 이용기간 1개월 연장혜택을 제공한다.

이지윤 서울시설공단 이사장은 “서울 공공자전거 따릉이 2만대 확대운영에 맞추어 이용자의 다양한 요구를 반영한 맞춤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서비스 개선을 추진하게 됐다”며 “앞으로도 이용시민이 보다 편리하게 이용할 수 있도록 서비스를 지속적으로 개선해나가고 안정적인 서비스 제공이 이루어지도록 시스템 관리에도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박종일 기자 dream@asiae.co.kr
<ⓒ세계를 보는 창 경제를 보는 눈,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