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29 (토)

문 대통령은 4차례…김정은 ‘비핵화’ 언급 없었다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중앙일보

남북정상 화해와 평화의 포옹 문재인 대통령과 김정은 국무위위원장이 27일 오후 경기도 파주 판문점에서 '판문점 선언문'에 사인한 뒤 서로 포옹하고 있다. 판문점=김상선 기자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이 '판문점 선언' 공동 발표에서 ‘비핵화’를 언급하지 않았다.

문재인 대통령과 김정은 위원장은 27일 정상회담을 갖고 “남과 북은 완전한 비핵화를 통해 핵 없는 한반도를 실현한다는 공동의 목표를 확인했다”며 종전과 완전한 비핵화 선언을 골자로 한 공동 선언에 서명했다.

양 정상은 공동 선언 서명 직후 각자의 입장 발표를 통해 다시 한번 한반도의 평화와 통일에 대한 의지를 재확인했다.

다만 김 위원장은 입장 발표에서 단 한 번도 ‘비핵화’를 언급하지 않았다. 김 위원장은

“온 겨레가 전쟁 없는 평화로운 땅에서 번영과 행복을 누리는 새시대를 열어나갈 확고한 의지를 같이하고 실천적 대책에 합의했다”며 “오늘 회담에서 합의된 의제들과 그 구체적 조치들을 반영한 조선반도의 평화와 번영, 통일을 위한 판문점 선언을 채택하고 서명하였다”고 밝혔지만, 핵 관련 발언은 없었다.

이는 앞선 입장 발표에서 문재인 대통령이 ‘비핵화’를 수차례 언급한 것과 대조적이다. 문 대통령은 이날 서문에서 “나는 완전한 비핵화를 통해 핵 없는 한반도를 실현하는 것이 우리의 공동목표라는 것을 확인했다”고 밝히는 등 ‘비핵화’를 모두 4차례 언급했다.

한편, 양 정상의 이번 합의 내용을 놓고 비핵화 방안에 대한 구체성이 결여됐다는 외신의 평가도 나온다. BBC방송은 “비핵화를 어떻게 이행할 것인지에 대한 구체적인 내용을 분명히 밝히지 않았다”고 지적했다. 워싱턴포스트(WP)는 두 정상이 서로 포옹까지 하면서 공동선언문까지 나온 것은 그 자체로 놀랄 만한 일이지만, 서로에게 “비핵화”가 정확하게 어떤 의미인지를 보여줄 수 있는 구체성의 문제에는 부족함이 있었다고 지적했다.

김은빈 기자 kim.eunbin@joongang.co.kr

▶ 중앙일보 '홈페이지' / '페이스북' 친구추가

▶ 이슈를 쉽게 정리해주는 '썰리'

ⓒ중앙일보(http://joongang.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