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아시아경제 최동현 기자] 서울시는 지난 7년간 130여개의 도시재생 사업을 추진하며 다양한 사업모델을 발굴해왔다. 최근 이 같은 노하우를 담은 백서를 발간한 데 이어 현재 도시재생사업의 미래 방향과 구체적 전략을 다지기 위한 의견수렴을 진행중이다.
시는 2013년 '도시재생 활성화 및 지원에 관한 특별법'을 제정해 도시재생 사업 추진·지원에 관한 법적 근거를 마련했다. 2014년 '창신·숭인 도시재생 선도사업'을 추진했고 2015년 1월엔 도시재생사업을 전담·총괄하는 도시재생본부를 출범했다. 본부 출범 두달여 만엔 '서울형 도시재생 종합플랜'을 발표해 서울형 도시재생의 비전과 추진방향, 유형별 전략, 중점대상지역 27곳을 공식 발표했다.
2015년 12월엔 도시재생 사업에 관한 보다 큰 그림을 그리는 '2025 서울시 도시재생전략 계획'을 공고했다. 장기적 안목에서 사업을 이끌어나가겠다는 의도였다. 사업도 경제기반형(서울역일대·창동-상계), 중심시가지형(세운상가·장안평·낙원상가), 근린일반형(칭신숭인·가리봉·해방촌·장위동·암사1동·성수동·신촌동·상도4동) 등으로 나누고 총 13개 도시재생활성화지역을 선정했다. 지난 2월엔 총 14개 지역을 추가 지정했다.
서울 도시재생사업 유형은 지역 여건과 도시재생 과제 및 전략에 따라 경제중심 지역, 산업·상업 지역, 역사·문화 지역, 주거지 지역 등 4가지로 나뉜다. 경제중심지역은 철도 등 기존 도시기반시설 복합화가 가능하거나 차량기지이전 등 가용지가 확보되는 곳이다. 창조산업과 MICE산업 등 신성장산업 기반의 대규모 일자리창출 기반을 마련해 광역차원의 경제중심지 육성이 요구되는 지역이다. 산업·상업 지역은 도심산업 지원, 지역특화산업 육성, 산업단지 재활성화 등을 통한 새로운 활로 모색이 필요한 지역이다. 역사·문화 지역은 근대산업유산과 역사문화자연 등의 명소화를 통한 지역정체성 회복이 필요한 곳이다. 주거지 지역은 지역특성을 고려한 점진적 주거환경정비 및 공동체회복이 필요한 지역이다.
시는 현재 도시재생사업의 패러다임을 기존 공공중심에서 민간중심으로 바꾸기 위한 대책을 수립중이다. 이 같은 차원에서 지난 18일 시민과 전문가 의견 수렴을 위한 공청회를 열기도 했다. 공청회 이후 시의회 의견 청취(5월)→자치구 등 관련 기관·부서 협의(5월)→온라인 시민의견 수렴(5월)→시 도시재생위원회 심의(6월 예정) 등 법적 절차를 거쳐 올 상반기안에 2025 서울시 도시재생전략계획 변경안을 최종 발표할 예정이다.
도시재생사업의 민간영역 확대 차원에서 앞으로 도시재생을 실행하는 주체는 기존 '도시재생지원센터'에서 주민·공공이 함께 참여하는 '민관 상생협의회'로 확장될 방침이다. 또 공공이 주도하는 도시재생 마중물 사업 이후 마을협동조합, 지역재생기업(CRC) 등을 통해 주민 스스로 도시재생을 이끌어갈 수 있도록 할 예정이다.
진희선 서울시 도시재생본부장은 "도시재생은 장기적 관점에서 일자리와 저출산, 고령화 등 우리 사회 현안을 풀어가는 도시 관리 수단이 돼야한다"며 "서울이 가지고 있는 장점을 잘 살려 가치를 실현해 나갈 것"이라고 밝혔다.
최동현 기자 nell@asiae.co.kr
<ⓒ세계를 보는 창 경제를 보는 눈,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