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29 (토)

“북미 정상회담 6월 중순 G7정상회담 뒤 개최 검토…제네바·싱가포르 가능성”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첫 북·미 정상회담이 열릴 장소에 대한 궁금증이 고조되는 가운데, 월스트리트저널(WSJ)은 20일(현지시간) 6월 중순 제네바나 싱가포르에서 개최될 가능성이 크다고 보도했다.

●트럼프 정상회담 주가 끌어올리기

WSJ는 이날 북·미 정상회담 협상과 관련된 브리핑을 받은 미 정부 고위 관계자의 발언을 인용해 “북·미 정상회담 후보지를 둘러싼 논의가 한반도를 떠나 더 중립적인 지역으로 옮겨 갔다”면서 “스위스 제네바와 같은 유럽, 싱가포르와 같은 동남아시아가 유력한 대안으로 떠오르고 있다”고 소개했다.

‘중립성’을 기준으로 “경제적으로 북한에 가장 큰 후원국 역할을 하던 중국과 북한의 비핵화를 위해 미국과 공동 입장을 조율해 온 일본이 선택지에서 배제됐다”고 덧붙였다.

●北, 억류 미국인 석방 긍정 반응

또 WSJ는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과 6월 중순에 만나는 방안을 제안했다고 전했다. 6월 8~9일 캐나다에서 열리는 주요 7개국(G7) 정상회담 이후에 북·미 정상회담이 열릴 것이라는 전망이다. 이는 트럼프 대통령이 G7 정상회담에서 참가국 정상들과 북·미 정상회담에 대해 논의를 하는 등 정상회담의 주가를 한껏 끌어올린다는 전략으로 해석됐다.

한편 마이크 폼페이오 미 국무장관 지명자가 평양을 방문했을 때 김 위원장에게 ‘북한 억류 미국인 3명의 석방’을 요구했고, 김 위원장도 긍정적으로 답한 것으로 알려졌다. 면담 자리에는 백악관 국가안보회의(NSC)나 국무부 직원이 아닌 중앙정보국(CIA)의 한국임무센터 직원이 배석했다고 설명했다.

워싱턴 한준규 특파원 hihi@seoul.co.kr

▶ 부담없이 즐기는 서울신문 ‘최신만화’

- 저작권자 ⓒ 서울신문사 -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