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26 (수)

[공기업 감동경영]온라인투표에 블록체인 적용한다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중앙선거관리위원회, 투명성-보안성 강화 기대

빅데이터, AI 활용도 추진

최근 4차 산업혁명 핵심기술로 블록체인이 주목을 받고 있는 가운데 중앙선관위는 블록체인을 적용한 온라인투표시스템을 개발하기로 했다.

비트코인(가상화폐) 플랫폼 기반으로 시작된 블록체인은 분산 컴퓨팅에 기반을 두고 데이터 위·변조를 방지하는 기술로 정보 보안과 투명성이 요구되는 금융분야와 공공분야 등에서 도입 움직임이 확산되고 있는 상황이다. 온라인투표는 아파트 동대표 선거 등 생활주변 선거의 낮은 참여율과 관리자에 의한 부정 선거문제를 개선하기 위해 2013년 10월 중앙선관위가 도입했다. PC나 스마트폰으로 손쉽게 투표할 수 있고 찬반투표나 선호투표 등 다양한 투표방식을 지원하는 온라인투표의 장점이 입소문을 타고 조합선거, 국립대학총장선거, 정당경선 등 이용분야 확대와 더불어 매년 폭발적인 증가세를 보이고 있다.

동아일보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중앙선관위에 따르면 2013년 도입 당시 두달 동안 16건으로 시작된 온라인투표는 2014년 104건에서 작년 1306건으로 대폭 증가하였고, 올해 3월 말까지 온라인투표를 이용한 사람은 440만여 명에 달한다. 중앙선관위는 이번에 블록체인을 적용한 온라인투표시스템을 개발함으로써 투표의 보안성과 투명성을 극대화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온라인 투표에 관한 정보 저장 방식이 중앙 집중형에서 분산형 시스템으로 바뀌고, 후보자·참관인 등에게 개표 결과를 검증할 수 있는 권한을 부여함으로써 구성원 모두가 개표 결과를 깨끗이 인정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중앙선관위는 블록체인 기반의 온라인투표시스템 개발이 완료되면 우선 중·소규모 단위 의사결정, 의견수렴 등 설문조사 영역에 시범적으로 도입하고 그 결과를 바탕으로 각종 민간선거·투표 등 생활주변선거에 폭넓게 활용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동아일보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아울러 중앙선관위는 중장기적으로 빅데이터를 이용한 대국민 맞춤형 선거정보 제공, AI 기술을 적용한 정보보호체계 구축, 각종 선거의 투·개표시스템에 대한 블록체인 기술 적용 방안 등에 관한 연구를 추진할 계획이다.

중앙선관위 관계자는 “블록체인을 적용하면 투·개표 결과에 대한 투명성과 보안성이 크게 강화될 것으로 기대한다”며 “앞으로도 인공지능, 빅데이터, 블록체인, 사물인터넷(IoT) 등 4차 산업혁명을 대표하는 기술과 선거관리 분야의 융합을 통해 보다 나은 선거서비스를 국민에게 제공하기 위해 노력을 다할 것”이라고 밝혔다.

태현지 기자 nadi11@donga.com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