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료:한국은행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아시아경제 조은임 기자] 일본의 저임금·비정규직 위주 노동공급 구조가 아베노믹스의 낙수효과를 제한했다는 분석이 나왔다. 저출산·고령화로 여성, 노년층이 경제활동에 대거 나섰지만 질 낮은 일자리에 종사하면서 임금상승률이 부진했다. 우리나라 역시 향후 비정규직 위주의 고용이 확대되면서 일본의 뒤를 따를 수도 있다는 지적이 나왔다.
22일 한국은행이 발간한 해외경제포커스 '일본 임금상승 부진 원인과 시사점'에 따르면 일본의 노동시장은 작년기준 실업률이 2.8%까지 하락했다. 2009년 5.1%를 기록했다가 2010년부터 작년까지 연평균 3.9%를 기록했었다. 실업률이 이처럼 완전고용 수준까지 내려갔지만 임금은 정체 중이다. 월평균 임금은 31만5000엔으로 2010~2017년 평균과 동일하다.
안시온 한은 조사국 아태경제팀 과장은 "최근 일본 경제는 완만한 성장세가 이어지는 가운데 노동의 수요 우위가 심화되고 있으나 임금상승은 부진하다"며 "이는 가계소득 개선, 소비·인플레이션 기대 회복에 부정적 영향을 미친다"고 평가했다.
보고서는 원인을 저임금·비정규직 위주 노동공급 구조에서 찾았다. 우선 저출산·고령화 진전으로 생산인구가 줄면서 여성, 노령층 고용이 증가했다. 일본 여성의 취업자 비중은 2000년 40.8%에서 작년 43.8%로, 노년층의 경우 같은 기간 7.5%에서 12.4%로 상승했다. 또 2000년에서 작년까지 여성, 노년 임금근로자는 각각 464만명, 284만명 증가했는데 이중 438만명(94.4%), 240만명(84.5%)가 비정규직이었다.
이와 함께 기업의 임금상승 여력이 부족해 진 것도 영향을 미쳤다. 금융위기 이후 불확실성이 확대되면서 기업은 저임금·비정규직 위주로 고용을 늘리고 설비투자에는 보수적으로 바뀌었다. 또 고용여건이 열악했던 취업빙하기 세대와 니트·프리터족 등이 중장년층에 편입되면서 임금인상을 제약한 측면도 있다.
보고서는 저임금·비정규직 위주 노동공급구조가 일본 아베노믹스의 낙수효과를 제약했다고 지적했다. 이에 일본정부는 양질의 일자리 창출을 위해 유인체계를 강화화고 여성·노년층의 근로환경 개선 등에 나섰다.
안 과장은 "우리나라 역시 경기회복, 생산가능인구 감소 등으로 노동 수요 우위 기조가 지속되더라도 일본과 같이 저임금·비정규직 위주로 고용이 확대되고 노동 생산성 개선이 제약될 가능성이 있다"고 말했다.
조은임 기자 goodnim@asiae.co.kr
<ⓒ세계를 보는 창 경제를 보는 눈,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