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22 (토)

'한국 코앞' 산둥성, 석탄 화력발전소↑…먼지 가득한 현장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JTBC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앵커]

중국에서도 미세먼지 주요 원인으로 꼽히는 석탄 화력발전소가 '산둥성' 지역을 중심으로 늘고 있습니다. 베이징의 하늘을 푸르게 하는 대신 한반도와 가까운 지역의 오염이 극심해졌고 그 영향은 우리에게 고스란히 미치고 있습니다.

박소연 기자가 보도합니다.



[기자]

공장 굴뚝에서 하얀 스모그가 쉴새 없이 나옵니다.

도로에는 중장비 차량이 줄지어 달립니다.

제 뒤로 보이는 공장에서 철강 파이프를 생산하고 있습니다.

강철 공장이 밀집한 허베이성 한단은 중국내에서도 공기질이 좋지 않은 지역으로 손 꼽히고 있습니다.

철강 공장의 전광판에 찍힌 초미세먼지 농도가 이른 아침부터 ㎥당 99㎍을 기록했습니다.

전날은 ㎥당 203㎍까지 올랐습니다.

[주민 : 남쪽에서는 흰색 셔츠를 일주일 동안 입을 수 있고, 구두도 닦으면 일주일 동안 깨끗해요. 하지만 여기는 안 그래요.]

심할 때는 앞도 잘 보이지 않습니다.

[주민 : (잘 안 보인다는 게 무슨 뜻이에요?) 한 10m 앞만 보였어요.]

특히 베이징에서 미세먼지 발생 원인으로 꼽혔던 공장 수백 곳이 한단으로 옮겨 왔습니다.

[짜오앙/중국 시민단체 : 지방정부는 기업이 오는 것이 새로운 경제성장점과 재정수입원이라고 생각했을 겁니다. 그래서 서로 경쟁하며 공장을 유치하려고 노력했을 겁니다.]

한·미 공동 연구를 통해 중국발 고농도 미세먼지 가운데 가장 영향력이 컸던 곳으로 꼽힌 산둥성도 상황은 비슷합니다.

주민 2500여 가구가 살던 중국 산둥성 옌타이시의 한 해안가 마을입니다.

북적이던 큰 마을은 작년부터 주민이 하나 둘 떠나면서 작년부터 이처럼 폐허로 변하고 있습니다.

바로 옆에 석탄화력발전소가 들어오기 때문입니다.

4년 전 석탄화력발전소 승인 권한이 지방으로 이관되며 무분별한 건설이 진행됐습니다.

중국 정부는 지난해에야 신규 건설 승인을 취소했지만 그 사이 완공된 발전소가 늘어나고 있는 것입니다.

우리와 지리적으로 가까운 산둥성은 석탄 매장량이 풍부하기 때문입니다.

베이징에서 사용이 금지된 석탄 난방을 사용하는 가정도 쉽게 찾을 수 있습니다.

[주민 : 날씨가 추우면 조금 더 넣어요. 그럼 더 따뜻하니까.]

베이징의 푸른 하늘을 지키기 위해 인근 지역이 직격탄을 맞고 있다는 지적입니다.

(취재지원 : 이민구)

(영상디자인 : 이민규)

박소연 기자

JTBC, JTBC Content Hub Co., Ltd.의 모든 콘텐트(기사)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은바, 무단 전재, 복사, 배포 등을 금합니다.

Copyright by JTBC, JTBC Content Hub Co., Ltd. All Rights Reserved.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