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28 (금)

정보통신공사때 감리원 의무화..일자리 늘어나나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과기정통부, 공사현장의 감리원 배치기준 개선

감리원·정보통신기술자의 자격기준도 바꿔

[이데일리 김현아 기자]정부가 5G 통신망 구축을 앞두고 정보통신공사 감리제도를 크게 바꾸기로 했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장관 유영민)는 정보통신공사의 품질향상을 위해 감리원 배치 신고를 의무화하는 내용의 ‘정보통신공사업법 개정안’을 마련했다고 밝혔다.

주요내용은 ▲정보통신공사 현장의 감리원 배치현황 신고제도를 도입하고▲이를 이행하지 아니하거나 감리원의 배치기준을 위반하는 경우에는 제재처분을 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이를 통해 정부는 감리원 고용이 늘어날 것으로 보고 있다.

이데일리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동시에 정부는 정보통신공사업체들이 현장에서 감리업무를 수행할 때 편익도 고려하기로 했다.

먼저 ▲정보통신공사 현장에 감리원을 배치한 이후 설계변경이나 물가변동 사유로 최초 총공사금액이 100분의 10미만의 범위에서 변경되는 경우에는 기존에 배치된 감리원이 감리업무를 계속 수행할 수 있도록 했다. 종전에는 배치기준에 적합한 감리원을 찾아 재계약 절차를 거쳐 다시 배치해야 했다.

또한 ▲총 공사금액이 2억원 미만의 정보통신공사로서 공사현장 간의 직선거리가 20킬로미터 이내인 지역에서 행해지는 동일한 종류의 공사의 경우에 1명의 감리원이 2이상의 공사를 감리할 수 있도록 했다. 종전에는 동일한 시·군에서 행하여지는 동일한 종류의 공사인 경우만 1명의 감리원이 2이상의 공사 수행이 가능했다.

아울러, 종전에는 풍부한 현장경험을 가지고도 국가기술자격증을 가지고 있지 않으면 시공·감리할 수 있는 공사가 한정되었지만▲앞으로는 풍부한 현장 경험과 오랜 경력을 바탕으로 정보통신공사에 대한 전문지식을 보유한 학력·경력자 및 경력자도 일정 요건을 갖춘 경우에는 중급기술자 및 중급감리원으로 활동할 수 있게 했다.

과기정통부 전성배 통신정책국장은 “현재 정보통신공사업 분야 민원사무의 효율적 운영·관리를 위해서 시·도와 협력하여 ‘정보통신공사업 시스템’을 구축하고 있으며, 이를 활용한 시장의 관리·감독 기능을 강화하여 건전한 시장질서가 확립되도록 더욱 노력하겠다”라고 밝혔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