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21 (금)

김기식 지원 나선 김상조 “개혁성·전문성 측면에서 적격”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김 원장의 장점에 대해 숙고해주시길 부탁"

"삼성 지배구조개편, 부회장 재판 후에 기대"

"엘리엇-현대차 압박, 충분히 대비하고 있을것"

이데일리

[세종=이데일리 김상윤 기자] 김상조 공정거래위원장은 10일 “김기식 원장의 경우에는 개혁성뿐만 아니라 전문성의 측면에서도 금융감독 기구의 수장으로서 정말로 적격인 분”이라며 “국민들께서 김 원장의 장점에 대해 다시 한 번 숙고해주시길 부탁해 드린다”고 밝혔다.

김 위원장은 이날 YTN 라디오 ‘출발새아침’에 출연해 “코멘트하기는 어려운 문제”라고 전제한 뒤 이같이 말했다.

김기식 금융감독원장은 국회의원 시절 국책연구기관 등을 통해 ‘외유성 출장’을 다녀왔다는 지적에 홍역을 치르고 있다. 이런 상황에서 김 원장을 간접적으로 엄호한 발언으로 풀이된다. 김 위원장과 김 원장은 참여연대 출신이다. 다만 재벌개혁 등에 견해차를 보이며 한때 결별했던 사이로 알려져 있다.

김 위원장은 김 원장의 취임으로 공정위 업무와 관련해 우군을 얻었다는 질문에 대해서는 “김기식 원장이 임명되기 전에도 저로서는 최종구 금융위원장을 비롯해가지고 금융감독 당국과는 여러 가지 협업의 과제들을 이미 잘 수행해왔다”고 말했다.

그는 “예를 들면 금융위에서 최근 역점을 두고 추진했던 금융그룹 통합감독 시스템 구축에서도 저희 공정위와 관련된 부분이 많았기 때문에 아주 충실하게 협의를 해서 논의하고 있다”면서 “꼭 김기식 원장만이 아니라 금융감독 당국과 공정위는 지금 원만한 협업체계를 구축하고 있다”고 덧붙였다.

김 위원장은 삼성그룹의 지배구조 개편에 대해서는 “이재용 부회장의 재판결과과 확정된다면 삼성도 비가역적(되돌릴 수 없는) 변화를 시작할 것으로 기대한다”고 말했다. 삼성은 5대그룹중 유일하게 별다른 지배구조 개편 모습을 보여주지 않고 있다.

김 위원장은 삼성그룹 지배구조 문제와 관련해 “삼성생명, 그러니까 보험계열사 고객의 돈으로 삼성전자를 지배하는 금산분리 문제가 삼성그룹의 가장 중요한 문제고 어려운 해결 과제”라며 “삼성 스스로 합리적인 방향을 시장에 제시해야 하며 정부도 그를 유도하는 법 제도를 고민해야 한다”고 말했다.

김 위원장은 이달말이나 5월초에 기업 전문경영인(CEO)를 다시 만날 계획이다. 그는 “애로사항을 경청하면서 앞으로 지속가능한 지배구조를 위해 정부와 재계가 어떤 측면에서 함께 노력해야 하는지 대화하고 올 하반기에 국회에 제출할 공정거래법 개편안에도 그 내용을 반영하겠다”고 전망했다.

현대차그룹의 기업 지배구조 개편 과정에 미국계 헤지펀드 엘리엇 매니지먼트가 압박에 나선 것과 관련해서는 “한국의 자본 시장은 이미 개방돼 엘리엇과 같은 다양한 성격의 투자자가 국내 시장에서 활동하고 있다”며 “이를 전제로 우리 기업이 지배구조 개편방향을 마련해야 하고 이미 충분히 대비하고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