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29 (토)

이동걸 산은 회장 "금호타이어 전직원 외자유치 찬반투표 요청...노조 더이상 대표성 없다"(종합)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이동걸 회장 “30일 시한 변경 없어…MOU 체결 불발 시 법정관리 후 청산될 것”

금호타이어 주채권은행인 산업은행은 26일 중국계 타이어업체 더블스타 자본을 금호타이어에 유치하는 것과 관련, 금호타이어 전체 직원의 찬반 투표를 요청했다.

이동걸 산업은행 회장은 이날 서울 여의도 산업은행 본점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이같이 밝히면서 “금호타이어 노조는 산은과 더블스타 등 3자와 자본유치에 합의하자마자 일방적으로 파기했다"며 “현 노조 집행부가 더이상 전체 직원을 대표하지 않는다"고 지적했다. 이 회장이 전 직원의 찬반 투표를 요청한 배경이다.

산은은 또 더블스타 자본 유치시 우리사주조합이나 개별 임직원에게 스톡옵션을 부여하겠다는 유인책도 제시했다.

이 회장은 이날 기자회견에서 금호타이어의 법정관리와 청산 가능성도 언급했다. 산은은 금호타이어 임직원 투표 결과 해외매각을 찬성하는 쪽이 많을 경우 법적 효력 등을 검토해 자본 유치 계약을 종결할 방침이다. 하지만 해외매각을 반대하는 임직원이 많을 경우 더블스타와의 자본유치 계약은 곧바로 취소되고 채권단 자율협약도 종료된다. 이 회장은 "합의 시한인 30일은 더 이상 변하지 않는다"고 말했다.

◇ 우리사주조합·임직원에 스톡옵션 부여…“회사 이익 발생 시 공유 목적”

이 회장은 "차이융썬 더블스타 회장과 함께 지난 23일 금호타이어 노조 대표단을 만나 고용보장과 스톡옵션 부여 등을 설명했고 노조도 더블스타의 자본을 수용하겠다며 구두 합의했다"고 밝혔다. 산업은행과 금호타이어 노조, 더블스타 등은 해당 합의에 따라 지난 26일에 자구안 합의 이행 및 금호타이어 정상화를 위한 공동선언문을 발표할 예정이었다.

이 과정에서 산은과 더블스타는 경영정상화 및 장기 발전방안 수립 등을 위한 ‘미래위원회’ 공동 구성, 우리사주조합 및 개별 임직원을 대상으로 한 스톡옵션 부여 등을 제안했고 노조 역시 찬성했다는 게 이 회장의 설명이었다. 스톡옵션은 금호타이어가 향후 이익을 낼 경우 그 이익을 임직원과 나누겠다는 취지다.

하지만 노조는 산은과 합의가 이뤄진 다음 날인 24일 해외매각 반대 총파업을 벌였다. 노조는 국내 업체의 금호타이어 인수 가능성을 언급하며 해외매각을 반대하겠다며 갑자기 입장을 바꿨다. 노조는 당시 "지역 유력 정치인에게 확인한 바로는 국내 대기업이 금호타이어 인수를 제안했고 현재도 유효하다"며 "더블스타 자본유치를 받아들일 수 없다"고 주장했다.

산은은 금호타이어에 투자를 제안하거나 인수하겠다고 나선 기업은 더블스타 외에는 없다고 밝혔다. 이 회장은 "국내 기업이 어디인지 수차례 노조에 문의했지만, 답변이 없었다"며 "부적절한 방법으로 금호타이어 매각을 흔드는 행위를 인정할 수 없다"고 말했다. 이어 "해당 업체가 어디인지, 또 그런 발언을 한 유력 정치인이 누구인지 확인할 것"이라고 말했다.

산은은 금호타이어 노조와 지난 23일 합의한 내용을 공개하지 않은 것도 노조의 요청 때문이라고 밝혔다. 노조가 24일 총파업 일정을 감안해 합의 내용 발표를 뒤로 미뤄 달라고 부탁했다는 것이다. 이 회장은 "그날 발표를 미뤄 달라는 금호타이어 노조 집행부의 요청이 있었다"며 "노조의 총파업 행사를 감안해 이를 수용했다"고 말했다.

◇ 이동걸 "금호타이어 노조, 직원 전체 대표하지 않아"...“합의시한 30일 더이상 변하지 않아"

이 회장은 금호타이어 현 노조 집행부가 전체 직원을 대표하지 않는다고 지적했다. 해외매각 찬반 투표를 전체 직원을 대상으로 실시해 달라고 요청한 것도 이 때문이다.

이 회장은 "적어도 노조 대표와 합의된 사항이 번복된 상황이기 때문에 이제는 노조원, 직원 전체에 의견을 물어볼 필요가 있다"며 "금호타이어 생존 문제가 소수집단에 의해 결정되어선 안 된다"고 강조했다.

이 회장은 이날 기자회견에서 처음으로 금호타이어의 법정관리와 청산 가능성도 언급했다. 이 회장은 산은이 제시한 노사 자구안 이행 협약서(MOU) 체결 시한인 오는 30일을 지날 경우 금호타이어는 법정관리 신청이 불가피하며 결과적으로 청산될 가능성이 높다고 밝혔다. 이 회장은 "법정관리 이후 계획은 회사가 수립할 것"이라며 "하지만 지금 회사 사정을 감안하면 회생보다는 청산으로 갈 확률이 높다"고 밝혔다.

김형민 기자(kalssam@chosunbiz.com)

<저작권자 ⓒ ChosunBiz.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