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29 (토)

금호타이어 법정관리 여부 주말 판가름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유동성 위기에 빠진 금호타이어 법정관리(기업회생절차) 여부가 이번주 말 분수령을 맞는다.

KDB산업은행 등 채권단이 설정한 법정관리 '데드라인'은 30일이다. 하지만 중국계 더블스타로 매각에 대한 조합원 찬반투표 일정 등을 감안하면 늦어도 26일까지는 노조 측 매각 찬성 입장이 나와야 금호타이어가 법정관리를 피할 수 있다.

23일 산업은행과 더블스타는 이 같은 상황을 고려해 막판 설득 총력전에 나섰다. 22일 금호타이어 광주공장을 찾은 이동걸 산업은행 회장과 차이융썬 더블스타 회장은 23일 노조 집행부와 회동을 시도했다.

이날 두 회장은 해외 매각에 찬성하는 일반직 직원과도 면담하면서 협력을 구했다. 차이 회장은 일반직과의 회동에서 "금호타이어 독립 경영과 직원 고용을 보장할 것"이라고 재차 강조했다.

하지만 회사 '목줄'을 쥐게 된 생산직 노조 입장이 주말 동안 전격적으로 바뀔 수 있을지는 미지수다. 노조는 "고용 보장을 법률적으로 담보하기 위한 구상과 향후 10년간 국내 법인 경영 계획을 먼저 내놓으면 대화하겠다"고 요구하며 차이 회장과의 면담이 불발됐다.

이날 더블스타는 3년 고용 보장 계획 등을 골자로 한 자료를 제출했지만 노조 측은 "우리가 원했던 자료가 아니다"고 주장했다. 노조는 해외 매각 입장 선회에 따른 내부 반발을 더 의식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노조 관계자는 "더블스타 회장과 만나면 해외 매각 반대 입장에 대해 오해를 받을 소지가 크다고 판단했다"고 전했다. 다만 노조는 이동걸 회장 등 산업은행과는 논의를 계속 이어가기로 했다.

차이 회장은 노조 면담 불발 이후 기자들과 만나 "이후 일정은 산업은행을 통해 조율하겠다"며 "지금 회사 상황을 보면 우리에게 남은 시간이 많지 않다"고 말했다.

채권단이 설정한 법정관리 최종 시한은 30일이다. 이때까지 해외 매각·사측 경영 정상화 계획(자구안)에 대한 노사 양측의 합의 문건이 제출되지 않으면 채권단은 채권 만기 연장을 중단한다. 유동성이 바닥난 금호타이어 입장에서 채권 연장 중단은 곧 법정관리를 의미한다.

타이어 업계 관계자는 "불과 일주일 뒤면 회사가 망하게 생겼는데 금호타이어 노조가 아직도 조직 이기주의에 빠져 현실 인식을 하지 못하고 있다"며 "회사 파산에 따른 인적 구조조정 고통을 체감하지 못하는 것 같다"고 전했다.

[광주 = 박진주 기자 / 서울 = 김정환 기자 / 이승윤 기자]

[ⓒ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