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29 (토)

도시-농촌 상생 사업 추진, 서울시 10곳 지원키로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머니투데이 진달래 기자] [올해 '도사-농촌 상생공동체' 10개 공동체 선정, 1대1 매칭으로 상생 도모]

머니투데이

서울시가 농촌과 상생 사업을 제안한 21개 단체 중 10곳을 선정했다. 주민공동체가 주도해 성과를 낼 수 있도록 지원할 방침이다.

서울시와 서울시 지역상생교류사업단은 23일 '2018년 도사-농촌 상생공동체' 사업에 참여할 10개 공동체(서울시 자치구 주민공동체 5, 지역 주민공동체 5)를 공모를 통해 선정했다고 23일 밝혔다.

2018년 도시-농촌 상생공동체 사업은 서울시 자치구의 주민공동체와 지역(농촌)의 주민공동체 간 일대일 상호 매칭으로 두 공동체가 추진할 지역상생 사업을 자유롭게 제안하고 추진하는 사업이다. 총 21개 단체가 지원했다. 먹거리, 역사·문화, 도시농업 등 다양한 키워드의 농산물교류·체험사업이 제안됐다.

이번에 선정된 사업으로 강북구가 강원도 평창군과 건강 테마의 상호 체험탐방 등을 제안했다. 관악구 위즐협동조합의 온라인플랫폼을 활용한 직거래사업, 서대문구 북가좌1동 마을계획단의 푸드플랜과 연계한 직거래사업 등도 선정됐다. 연계 지역으로는 경기 포천시 교동장독대마을회 영농조합법인, 경상북도 상주시 상주로컬푸드협동조합 등 5개가 뽑혔다.

선정된 서울과 지역의 주민공동체들은 제안한 지역상생 사업을 서울시 지역상생교류사업단과의 협력체계 아래 진행하게 된다. 서울시와 우호교류협약을 체결한 지자체들의 행정 지원과 지역상생 유관단체들의 협력을 통해 추진한다.

서울시는 행정 주도 사업이 아니라 주민공동체가 지역간 교류를 적극 주도해 성과를 도출하고 사업의 자립성을 높이기 위해 단계별 지원을 추진할 예정이다. 사업 초기 워크숍으로 참여공동체의 활동·희망사업 공유와 매칭그룹별 사업계획을 논의한다. 서울과 지역 주민 공동체의 정기교류회를 2회 이상 개최하도록 하고 사업단이 사업과정 전반에 걸친 모니터링을 실시한다. 공동체 간 협약체결로 상호 협조·의무, 공공성 확보를 위한 협력체계를 구축토록 했다.

유정규 서울시 지역상생교류사업단장은 "참신한 사업 아이디어로 문의해 온 공동체가 많아 지역 공동체들의 높은 관심을 알 수 있었다"며 "올해 사업이 내실있게 운영될 수 있도록 지원하겠다"고 밝혔다.

진달래 기자 aza@

<저작권자 ⓒ '돈이 보이는 리얼타임 뉴스' 머니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