용산구, 봉사자 대상 ‘감정코칭’
스트레스 푸는 명상법 등 소개
![]() |
22일 용산구자원봉사센터에서 감정코칭 강좌 수강생과 강사(왼쪽)가 명상을 하고 있다. [강정현 기자]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강의를 들으러 온 자원봉사자들은 저마다 상처받은 경험이 있었다. 부녀회와 여러 단체에서 40년 넘게 봉사활동을 이어온 권윤복(68)씨도 자신의 경험을 털어놨다. 몇 년 전 권 씨는 중학교 1학년생 손자를 홀로 키우는 어르신의 집 청소 봉사를 하다가 ‘지갑이 없어졌다’며 도둑으로 몰렸다. 다행히 함께 집 청소를 했던 다른 봉사자가 “지갑을 방 서랍에서 봤다”고 기억했다. 지갑은 서랍 구석에 있었다. 권씨는 “청소를 따라다니며 자원봉사자를 감시하는 분도 많다. 우리도 감정이 있는 사람이라 이런 대접을 받고 봉사를 그만두는 사람들도 있다”고 안타까워 했다.
2016년 발 마사지 봉사에 참여한 김모씨는 “돈 받고 하면서 제대로 좀 하라”는 말을 듣고 ‘이런 소리까지 들으며 봉사활동을 해야 하나’ 회의감이 들었다고 말했다.
통계청 사회조사에 따르면 우리나라 사람들이 1년 간 자원봉사에 참여한 비율은 2017년 기준 17.8%으로 2013년 19.9%, 2015년 18.2%에서 계속 떨어지고 있다.
마음 다친 자원봉사자를 돕고 자원봉사 참여를 늘리기 위해 지자체가 나섰다. 용산구는 오는 22일부터 5월 3일까지 전국 최초로 자원봉사자 대상 ‘감정코칭’ 교육을 시행한다. 강의는 ▶관계회복을 위한 대화법 ▶명상을 통한 스트레스 관리법 ▶긍정에너지 회복하기 등 주제로 매주 목요일 7회에 걸쳐 진행될 예정이다.
성장현 용산구청장은 “봉사자가 먼저 행복해야 수혜자도 행복할 수 있다”며 “감정코칭과 힐링 명상을 통해 소진된 감정을 채우고 여러 갈등 상황도 해소되길 바란다”고 말했다.
자원봉사자의 인권 보호가 필요하다는 지적도 있었다. 이수민 한국자원봉사협의회 사무총장은 “봉사하러 온 사람들은 대체로 마음이 선해서 하대를 당해도 혼자 참는 경우가 많다. 자원봉사자의 인권을 위해 불만 사항을 받아 관리해야 한다”고 말했다.
이태윤 기자 lee.taeyun@joongang.co.kr
▶모바일에서 만나는 중앙일보 [페이스북] [카카오 플러스친구] [모바일웹]
ⓒ중앙일보(http://joongang.co.kr) and JTBC Content Hub Co., Ltd.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