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26 (수)

[기자수첩]기우가 아니길…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메트로신문사

요즘 중소벤처기업계의 가장 큰 화두는 '사람'이다.

'요직에 앉게 된 사람'이라고 해야 이해가 쉬울 것 같다.

중소기업 정책자금을 집행하는 대표적인 공공기관의 수장에 A씨가 온다는 소문은 지난해 말부터 있었다. 심지어 A씨의 고향 주변에서도 일찍이 소문이 퍼졌다. 장관에까지 하마평이 올랐던 사람이니 산하기관장쯤은 무리가 없을 것이라는 관측과, 그 자리로 성에 차겠느냐는 평가가 엇갈렸다.

2개월여의 시간이 지나자 소문은 사실이 됐다. A씨는 기관장이 되자마자 39년된 기관명칭부터 바꾸겠다고 공언했다. 최근엔 해당 기관의 임원 주변에 '칼바람'이 불고 있다는 이야기도 들려온다.

중소기업 관련 규제를 총괄하는 차관급 자리엔 연초부터 기업인 B씨의 내정설이 나돌았다.

B씨는 자수성가한 기업인으로 과거에도 같은 자리에 도전한 바 있다. B씨에 대해 업계에선 기업 현장을 누구보다 잘 알고 있어 해당 자리에 적임자라는 평가와, 현장과 소통을 통해 다양한 규제를 발굴하고 중앙부처와 지자체를 넘나들면서 규제를 해결해야하는 종합적 판단을 할 수 있을까하는 의심의 눈초리가 맞섰다. 중소벤처기업부 내부에서도 B씨의 내정 소식에 '멘붕'이란 이야기가 나오기도 했다. B씨 역시 소문대로 무난하게(?) 자리에 앉았다.

어느날 중소기업 단체 중 한 곳엔 서울의 한 구청장 출신인 C씨가 '2인자'로 왔다는 소식도 들렸다. 살림이 넉넉하지 못한 이 단체는 직원들이 박봉에 시달리고 있지만 2인자인 상근부회장의 적지 않은 월급을 주무부처인 중기부가 100% 대주고 있다. 한 정치인은 C씨를 자신이 밀었다며 언론에 당당하게 사실을 밝히기도 했다.

중소기업계에서 맏형 역할을 하는 또 다른 단체엔 정치인 출신 D씨가 상근부회장에 입질하고 있다는 소문이 한 때 돌았다. 하지만 노조 등의 반대로 D씨의 입성은 결국 무산됐다. 이 단체는 또 감사 자리에 정치적 색깔이 짙은 E씨를 금명간 임명할 계획이다. 타의에 의해서다.

곳곳에 앉은 이들 요직 자리를 두고 말이 많은 게 요즘 중소기업계 주변이다. 물론 이들을 모두 '낙하산'이라고 싸잡아 이야기할 수는 없다. 하지만 이들이 자리에 앉는 과정을 전후해 업계 안팎의 우려 등이 적지 않았음은 주지의 사실이다. 이젠 이들 인물에 대한 업계의 우려가 기우이길 바라는 수밖에 없다.

김승호 기자 bada@metroseoul.co.kr

ⓒ 메트로신문(http://www.metroseoul.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금지 저작권문의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