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29 (토)

"재팬패싱 막아라"…日서 '북일정상회담' 추진론, 성사 불투명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대화반대·압력강화" 아베, 트럼프와 통화서 "北변화 평가" 변화 감지

"간접화법 말고 직접 들어야" vs "아베, 대북채널 없어 어렵다"…전망 엇갈려

(도쿄=연합뉴스) 최이락 특파원 = 일본 정부 내에서 아베 신조(安倍晋三) 일본 총리와 김정은 북한 노동당 위원장과의 '북일 정상회담' 추진론이 대두하고 있다.

한국의 대북특사 방북 이후 문재인 대통령과 김 위원장 간의 남북 정상회담에 이어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과 김 위원장 간의 북미 정상회담까지 가시화된 데 따른 위기감과 무관치 않다.

아베 총리와 여권은 북한의 핵·미사일 도발에 대해서는 국제사회의 철저한 공조로 북한에 대한 압력을 최고조로 끌어올려 '항복'을 받아내야 한다는 것을 기본 전략으로 삼아왔다.

그중에서도 한미일 연대가 핵심이다. 이런 기조는 유지됐으나 올해 들어 김 위원장이 대화 신호를 보낸 데다, 지난달 북한의 평창동계올림픽 대표단 파견을 계기로 북한과의 대화 분위기는 급진전했다.

급기야 이달 들어 남북 정상회담에 이어 북미 정상회담 일정까지 정해진 상황이지만 김 위원장은 일본에 대해서는 별다른 메시지를 보내지 않은 것으로 알려졌다.

이에 따라 일본 정부 내에서는 북핵·미사일 문제 해결을 위한 대화의 틀에서 제외되는 '재팬 패싱' 우려가 팽배한 상황이다.

일본 정부 내에서 북미 정상회담 추진론이 나오는 것도 한미일 3국 가운데 유일하게 대화에서 제외되고 있다는 위기감과 무관치 않아 보인다.

연합뉴스

[AP=연합뉴스 자료사진] 남북한 정상회담에 관해 전하는 도쿄의 TV 화면에 문재인 대통령과 북한 김정은 노동당 위원장의 사진이 비친 모습.



북한 문제와 관련된 일본 정부 관리는 12일 자국 기자들과 만난 자리에서 "한국 측으로부터 '김 위원장이 이런 이야기를 했다'고 들어도, 그것이 얼마나 정확한지 알 수 없다"고 말했다고 교도통신이 전했다.

이 관리는 "간접화법이 아니라, 일본이 상대방(북한 김 위원장)으로부터 직접 이야기를 들을 필요가 있다"고 강조했다.

아베 총리가 직접 김 위원장과 의사소통을 도모하지 않으면, 김 위원장의 본심을 파악할 수 없다는 취지다.

사토 마사히사(佐藤正久) 외무부대신은 지난 10일 한 방송에 출연한 자리에서 북일 정상회담에 대해 "북미 정상회담 성사 분위기에 따라 그런(북일 정상회담) 움직임이 나올 가능성은 있다"고 전망했다.

실제 아베 총리의 대북 발언에서도 최근 들어 미세한 변화가 감지되고 있다.

아베 총리는 지난 9일 트럼프 대통령과 통화를 한 뒤 기자들과 만난 자리에서 "(김 위원장이) 비핵화를 전제로 대화 의사를 표명했다. 이런 변화를 평가한다"고 말했다. 트럼프 대통령이 아베 총리에게 북미 정상회담 수용 의사를 전한 직후다.

물론 아베 총리는 기자들에게 "북한이 핵폐기를 위한 구체적 행동을 취할 때까지 최대한 압력을 가해야 한다"는 말도 덧붙였다.

그러나 "대화를 위한 대화는 안 된다", "필요한 것은 대화가 아니라 압력이다"라는 종전 강경 일색 발언과는 대비된다는 점에서 주목된다.

이는 북한에 대한 압력만을 강조하면 '북일 정상회담'의 분위기 조성이 어려운 것 아니냐는 우려가 반영된 것이라는 분석이 나온다.

일본 정부 내에서는 북일 정상회담의 시점까지도 거론되는 분위기다.

"북일 정상회담 시기에 같은 장소에서 하는 것이 효과적이다", "이 경우 아베 총리가 트럼프 대통령과 연대하면서 김 위원장과 대화할 수 있다"라는 말들도 나온다.

연합뉴스

아베 일본 총리
[교도=연합뉴스 자료사진]



그러나 이런 희망과 달리 상황이 그리 녹록지 않다는 지적도 있다.

한 외교 관계자는 "아베 총리 측은 김 위원장 주변과 접촉 채널이 없다. 북한에 대한 메시지는 북미회담을 앞둔 트럼프 대통령에게 당부하는 수밖에 없다"고 북일 정상회담 희망론을 일축했다.

실제 아베 총리도 이런 현실을 고려한 듯 지난 9일 트럼프 대통령과의 통화에서 "(북한에 의한 일본인) 납치 문제 해결에 협력해 달라"고 당부했다. 트럼프 대통령이 김 위원장과의 회담에서 납치문제를 언급해 달라는 이야기다.

아베 총리와 주변에서 김 위원장과의 회담에 기대를 걸지만, 현실적인 한계를 인식하는 만큼 북일 정상회담 불발 시에 대비해 트럼프 대통령에게 부탁한 것이란 해석이다.

교도통신은 "문재인, 트럼프 대통령에 이어 아베 총리도 김정은 위원장과의 정상회담을 끌어낼 수 있느냐는 엄중한 과제가 아베 총리에게 중압감을 줄 것"이라며 "김 위원장의 행보도 예측 곤란해서, 아베 총리가 대응에 한층 어려움을 겪을 것으로 예상된다"고 지적했다.

연합뉴스

트럼프와 김정은(PG)
[제작 최자윤] 사진합성



choinal@yna.co.kr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