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10.16 (수)

[긴축시대로 대전환] 美금리인상 초읽기… 한·미 금리역전보다 무서운 가계부채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가계빚 1450兆 달하는데… FOMC 이달 금리인상 유력
한은이 금리 5월께 올려도 은행 대출금리는 당장 뛸듯
가계 이자부담 갈수록 확대..내수시장 위축으로 이어져
외국인 자금이탈보다 국내경제 파장 더 클수도


파이낸셜뉴스


한·미 간 기준금리 역전이 예고된 가운데 가계의 이자비용 확대에 대한 우려의 목소리가 나오고 있다. 미국이 이달 기준금리를 올리면 국내은행의 대출금리 등 시중금리도 인상 압박을 받게 된다. 시중금리 상승은 가계의 이자비용 확대로 이어지고, 장기적으론 소비 및 내수 부진과 연결될 수 있다. 더구나 가계부채가 이미 1450조원을 넘어 소폭의 금리인상에도 가계는 타격을 입을 수 있다.

■올해 이자비용 확대 전망

12일 통계청에 따르면 물가상승 등을 고려한 전국 2인 이상 가계의 지난해 4.4분기 이자비용은 전년 동기 대비 7.7% 늘어났다.

가계의 이자비용은 지난 2013년 3.3% 감소를 기록한 이후 18분기 연속 감소세를 이어왔다. 이후 지난해 3.4분기에 1.3% 증가를 시작으로 2분기 연속 오름세다.

물가 상승을 고려한 가계의 실질이자비용도 지난해 4.4분기는 20분기 동안 이어진 감소세에서 증가세로 돌아섰다. 가계의 실질이자비용은 지난해 4.4분기 전년 동기 대비 6.1% 늘어났다.

가계 이자비용이 감소했던 것은 한은이 경기활성화를 위해 기준금리를 지속 인하한 영향이다. 이 같은 흐름이 바뀌기 시작한 것은 지난해 4.4분기다. 한은이 기준금리를 인상한 것이 지난해 11월이었고, 미국 중앙은행인 연방준비제도(연준)도 12월 금리를 인상했다. 이에 직간접적으로 영향을 받은 국내 은행도 지난해 4.4분기 시중금리를 올렸다.

실제 지난해 9월 신규취급액기준 가계대출 금리는 3.41%였지만 지난해 12월에는 3.61%까지 올랐고, 지난 1월에는 3.71%를 기록했다.

시중금리 인상은 이달 다시 시작될 것으로 보인다. 미국의 기준금리 인상이 단행되면 한은도 5월께 금리를 올릴 수 있어 금융기관으로서는 선제적으로 움직일 수밖에 없어서다. 미국은 올해 3~4차례 기준금리 인상에 나설 것으로 보이고, 한은도 최대 2차례 인상이 예상된다는 점에서 장기화 가능성도 있다.

성태윤 연세대 경제학과 교수는 "지난해 미국의 금리인상에 영향을 받아 한은도 움직이면서 가계의 이자비용이 늘어났다"며 "미국 중앙은행이 금리를 올리면 우리 중앙은행인 한은도 기준금리를 조정할 것이라는 개연성 면에서 사전적으로 시중은행 금리가 올라가는 측면이 있다"고 설명했다. 한 시중은행 관계자도 "미국이 3차례 인상하면 국내 은행 대출이자도 인상된다"며 "따라서 올해 시중금리가 상승할 것으로 본다"고 전했다.

■이자비용 확대, 내수 누르나

가계 이자비용 확대는 국내 내수 경기에도 부담이 될 전망이다.

한은에 따르면 지난해 말 기준 국내 가계신용 잔액은 1450조9000억원이다. 통계를 내기 시작한 2002년 4.4분기 이후 최대치다. 가계의 이자비용이 감소하기 시작한 지난 2012년 말 963조8000억원과 비교하면 50.5% 늘어났다. 가계신용은 가계대출과 판매신용을 합친 것으로 가계부채를 포괄적으로 보여주는 통계지표다.

가계부채 규모가 늘어난 만큼 소폭의 금리인상에도 가계가 느끼는 이자부담은 커진다. 늘어난 이자부담으로 가처분소득이 줄어들면 가계의 소비가 위축된다. 장기화될 경우 내수 위축으로 이어진다는 우려도 있다.

한·미 간 기준금리 역전에 의한 외국인 자금 이탈보다 국내은행 시중금리 인상이 우리 경제에 미치는 부정적 영향이 더 크다는 해석이 가능하다.

김천구 현대경제연구원 연구위원은 "단기로는 가계부채가 크게 부실화되지 않을 것으로 예상되지만 일단 가계의 소비에는 부정적 영향을 주게 된다. 특히 한계가구의 충격이 걱정된다"며 "부정적 영향을 줄이려면 시중금리 인상 속도가 완만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coddy@fnnews.com 예병정 기자

※ 저작권자 ⓒ 파이낸셜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