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10.10 (목)

[단독]롯데마트 이어 롯데케미칼도 당했다 …'中 선전 영업장 폐쇄'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롯데케미칼 자회사 롯데첨단소재의 '중국 선전시 영업장', 작년 3월부터 폐쇄
중국 소방 당국 불시에 점검…롯데마트와 똑같이 '소방법 위반'이 사유
선전시는 롯데 화학 사업의 전략적 요충지, 철수 고려할 수도 없는 상황
아시아경제

롯데케미칼 자료 사진 (출처: 롯데케미칼 홈페이지)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아시아경제 심나영 기자] 고고도미사일방어체계(THAADㆍ사드) 설치 이후 중국의 대표적인 보복 대상이었던 롯데그룹이 화학 사업 부문에서도 영업장 폐쇄 조치 피해를 입은 것으로 나타났다. 지난해 3월 중국 당국이 롯데마트 창저우 2곳에 대해 소방 점검을 이유로 영업정지 통보를 한 직후, 선전시에 있는 롯데의 화학 사업 부문 영업장도 똑같은 이유로 폐쇄한 것이다. 그동안 유통 사업 부문에만 사드 피해가 국한된 것으로 비쳤지만, 중국은 롯데그룹의 양대 축인 화학 사업 부문까지 전방위로 압박하고 있었다.

12일 롯데그룹에 따르면 롯데케미칼의 자회사인 롯데첨단소재의 선전시 영업장은 지난해 3월 8일 이후 현재까지 출입 금지 중이다. 당시 중국 소방 당국은 선전시 내 한 오피스 건물에 입주해 있는 이 영업장을 대상으로 불시에 소방 점검을 했다. 점검 결과 건물주가 처음 설계할 당시부터 들여와 같은 건물 내 다른 사무실에서도 똑같이 쓰고 있는 바닥재와 카펫 등이 소방 규정에 맞지 않는다는 진단이 나왔다.

이런 이유로 1년이 지난 현재까지 사무실 문 앞에는 중국 소방 당국이 붙여 놓은 붉은색 출입 금지 스티커가 붙어 있다. 지난해 롯데케미칼 자싱 법인이 소방법 위반 등을 이유로 벌금 등을 낸 적은 있지만 롯데 화학 사업 부문을 통틀어 폐쇄 조치를 받은 곳은 이곳이 유일하다.

원래 이 영업장에서는 영업ㆍ인사ㆍ재무 등 직원들을 포함해 20~30여명이 일했다. 갑작스럽게 사무실 출입을 못 하게 된 이들은 1년 동안 재택ㆍ현장방문 근무를 이어오고 있다. 롯데 관계자는 "언제 중국 당국이 폐쇄 조치를 해제할지 알 수 없어 매월 수천만 원에 달하는 건물 임대료를 계속 내고 있는 실정"이라고 말했다. 중국 현지 기업인들 사이에선 선전시에는 롯데마트가 없어 대신 롯데케미칼이 타깃이 됐다는 분석도 나온다.

선전시는 롯데 화학 사업의 전략적 요충지라 롯데마트처럼 철수를 고려할 수도 없는 상황이다. 선전시를 중심으로 둥관, 후이저우까지 이어지는 공장 밀집 지역에 화학 제품을 납품하고, 가까운 홍콩까지 이곳에서 영업망을 구축하고 있다. 롯데첨단소재만 봐도 전체 매출 중 해외 수출 물량이 차지하는 비율이 80%다. 이 중 중국시장에서 소화하는 물량이 50%나 된다.

아시아경제

이로 인해 영업장 폐쇄 조치를 당해도 오히려 쉬쉬해야 할 형편이다. 일단 중국 내 VIP 기업 고객들을 잃지 않기 위해선 최대한 빨리 영업 활동 재정비를 하고 추가 피해를 막는 게 급선무다. 롯데가 반발하면 선전에서 활동 중인 다른 한국 기업들에까지 불똥이 튈까 봐 항의조차 제대로 못 한 것으로 전해졌다.

화학업계 관계자는 "화학 분야는 원래 B2B(기업 간 거래) 사업이라 최종 물건이 생산되면 롯데 화학 제품을 썼는지 중국 화학회사 제품을 썼는지 알 수 없어 '금한령' '사드 보복'에서 비교적 자유로워 보였지만 사실 내상이 컸다"고 토로했다. 이어 그는 "SK종합화학이 중국 국영 화학기업과 협력을 점점 강화하고 있는 것과 대조해도 롯데케미칼이 사드 보복으로 지난 1년 동안 피해와 압박에 노출돼 있었다는 것을 알 수 있다"고 부연했다.

롯데첨단소재는 2016년 4월 삼성그룹으로부터 롯데가 인수한 화학회사로 현재 롯데정밀화학, 롯데비피화학과 함께 롯데케미칼의 자회사로 자리 잡았다. 고품질 플라스틱 소재인 ABS와 폴리카보네이트(PC) 등을 생산한다. 중국 상하이와 선전에 법인과 영업장을 두고 제품을 판매하고 있으며, 둥관에서 공장을 가동하고 있다.

심나영 기자 sny@asiae.co.kr
<ⓒ세계를 보는 창 경제를 보는 눈,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