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26 (수)

지방선거 D-100 '北·개헌·연대' 3대변수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아시아경제

전국동시지방선거를 100일 앞둔 5일 경기도 과천 중앙선관위에서 박찬진 중앙선관위 조사국장이 '가짜뉴스 등 비방흑백선전 대응 유관기관 대책회의'를 주재하고 있다./윤동주 기자 doso7@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아시아경제 성기호 기자, 유제훈 기자] 6ㆍ13 지방선거가 100일 앞으로 다가오면서 여야 모두 본격적인 선거모드로 전환하고 있다. 문재인 대통령과 여당인 더불어민주당의 지지율이 고공행진을 이어가고 있지만 남북 관계와 개헌ㆍ선거연대 등 주요 변수가 남아 있어 결과는 여전히 안갯속에 놓인 상황이다.

전국 17개 시도지사와 교육감 등을 뽑는 지방선거는 5일 딱 100일 앞으로 성큼 다가왔다. 이번 선거의 최대 관전포인트는 대북 관계가 떠올랐다. 5일 대북 특별사절단이 방북하면서 특사단이 얼마만큼 성과를 내느냐가 관건으로 떠오른 것이다. 이산가족 상봉과 남북 교류 등 가시적인 결과가 뒤따른다면 지방선거를 앞둔 여권에 호재가 될 것으로 보인다.

이로 인해 보수 야당은 특사단 파견에 마뜩잖은 시선을 보내고 있다. 보수 야당에서는 '북한의 비핵화'를 확답받지 않는 이상 특사단의 성과를 인정하지 않겠다는 태도를 드러내고 있다. 또 북한과의 대화가 정부의 의도와는 다른 방향으로 흘러 무력도발 등이 발생한다면 여권은 최악의 상황에서 선거를 치러야 할 수도 있다.

개헌도 주요 변수다. 새 개헌안에 대한 여야의 합의가 지지부진하면서 대통령 개헌안 발의가 기정사실화되는 분위기다. 대통령 개헌안에 대한 논란과 함께 지방선거와 국민투표를 동시에 해야 할지를 놓고 국회 본회의 표대결이 불가피해 자연스럽게 여론은 정치권에 집중될 것으로 보인다.

아울러 정부와 여당이 주장하는 지방분권 개헌안이 공론화된다면 야권에서 주장하는 '정권 심판론'은 입지가 줄어들 것으로 예측된다. 또 국민투표안이 국회에서 부결되면 야권이 지방 분권을 반대하는 모양새가 된다. 하지만 지방선거와 국민투표가 동시에 이뤄지면 여권 성향의 젊은 층이 대거 투표장으로 나설 것으로 보여 야권으로선 고민스러운 대목이다.

보수 야당의 선거 연대 카드도 선거판을 뒤흔들 변수다. 여권이 절대적으로 유리한 현 정치지형상 자연스럽게 거론되는 카드이지만 일단 자유한국당과 바른미래당은 모두 선거연대가 없다는 점을 분명히 하고 있다.

제1야당인 한국당의 입장에서는 선거연대를 통해 특정 지역에 후보를 내지 않는다는 것은 스스로를 지역정당의 틀에 가두는 자충수가 될 수 있다. 바른미래당은 '후보 기근'에 시달리고 있다. 수도권은 물론 텃밭인 영ㆍ호남에도 뚜렷한 후보군이 없다. 이 때문에 당내에서는 당의 '간판주자'가 나서야 한다는 주장이 나온다. 유승민ㆍ박주선 공동대표는 이날 광주광역시를, 오는 9일엔 부산을 찾아 전국적 바람몰이에 나선다. 구체적으로는 안철수 전 국민의당 대표의 서울시장 출마론이 거세다.

당 안팎에선 안 전 대표가 당 인재위원장 등을 맡아 정치일선에 복귀한 뒤 추후 서울시장 출마 여부를 본격 저울질할 것으로 보고 있다. 안 전 대표도 최근 지방선거 출마 예정자의 출판기념회를 찾는 등 공개행보를 이어가고 있다. 당 관계자는 "이번 주 내로는 지도부가 안 전 대표에게 인재영입위원장 등 공식적인 역할을 제안하게 될 것"이라고 설명했다.

민주평화당은 '합종연횡'을 노리고 있다. 민평당은 이날 오전 국회도서관에서 최고위원ㆍ국회의원ㆍ지역위원장ㆍ당직자 등이 참석하는 당 워크숍을 열고 정의당과 공동교섭단체를 구성하는 방안을 논의했다.

장병완 민평당 원내대표는 이날 오전 아시아경제와 만나 "공동교섭단체와 관련한 당내 이견은 크지 않은 편으로, 결정이 되면 곧 지도부 차원에서 (정의당에) 공식 제안하게 될 것"이라고 밝혔다. 장 원내대표는 또 선거연대 여부에 대해 "공식적인 연대는 아니지만, 선거제도 개혁 등에 대한 양당의 공감대가 넓은 만큼 이심전심으로 고민하게 되지 않겠느냐"고 말했다.

성기호 기자 kihoyeyo@asiae.co.kr
유제훈 기자 kalamal@asiae.co.kr
<ⓒ세계를 보는 창 경제를 보는 눈,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