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29 (토)

'해외자본 매각 시 노사간 합의'…금호타이어 자구안 협상 막판 속도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노사·채권단, 문구 수정하기로

세계일보

법정관리 파국의 기로에 섰던 금호타이어 사태가 해결의 실마리를 찾았다. 핵심 쟁점이던 노조 측의 ‘해외자본 매각 시 노사 간 합의’ 요구에 채권단이 긍정적인 신호를 주면서 협상이 급물살을 탔다. 공멸에 대한 우려가 커지면서 양측이 한발씩 양보한 결과로 해석된다.

28일 금호타이어와 전국금속노동조합 금호타이어 노조에 따르면 노사는 전날부터 진행된 마라톤 교섭에서 “해외 자본 유치가 불가피할 경우 노사 간 합의를 통해 추진한다”는 데 의견 접근을 이뤘다. 이로써 곧 경영정상화 계획(자구안) 이행 약정서(MOU)도 체결될 전망이다. 노조 관계자는 “노조가 자구안에 서명하면 채권단은 해외 매각 시 노사 간 합의를 통해 추진한다는 합의서 문구를 작성해주기로 했다”고 밝혔다. ‘합의’는 노사 간 의사가 일치돼야 가능한 반면 협의는 교섭 결과와 무관하게 사측이 추진할 수 있다. 법적 구속력을 부여해 달라는 요구다.

사측과 채권단은 노조가 임금삭감과 생산성 향상 등 추가적인 고통분담을 수용할 경우 ‘협의’란 문구를 ‘합의’로 수정할 수 있다고 제시했고, 노조도 이를 받아들인 것으로 알려졌다. 제3자 유상증자(외부자본 유치) 방식으로 새 주인을 찾되 외국 자본에 매각할 경우 노조와 별도로 협의하겠다는 것이다. 이 경우 채권단으로선 주주들 이익을 침해할 수 있고, 업무상 배임 논란을 빚을 수 있어 난색을 표명해왔다.

노조가 이 문제에서 물러서지 않은 것은 고용 문제와 직결된다고 판단해서다. 일시적으로는 생존할 수 있지만 쌍용자동차, 한국GM 등 사태에서 확인되듯 지속 가능성을 담보할 수 없다는 것이다. 노조 관계자는 “기술만 빼먹고 해외(한국) 사업장 정리 수순으로 이어지는 것을 우려하는 것”이라고 주장했다. 순조롭게 진행되던 자구안 교섭은 중국 더블스타로 매각 재추진설이 불거지면서 ‘해외 매각 결사 반대’ 투쟁으로 이어졌다.

남은 과제는 임금 삭감, 성과급 및 복지 혜택 축소, 생산성 향상 등 ‘충분하고도 합당한 수준의 자구 노력과 이행 약속’에 합의하는 것이다. 노사는 이날 오후 2시15분부터 본교섭을 재개해 세부 이견을 조율했다.

산업은행 등 채권금융기관협의회 9개 기관도 이날 실무회의를 열고 금호타이어 처리 방안을 논의했다. 한 채권단 관계자는 “금호타이어는 생산라인이 가동돼야 하기 때문에 노조 협조 없이는 할 수 있는 대안이 별로 없다”며 “은행들은 금호타이어 채권에 대해 이미 상당부분 충당금을 쌓아둔 상태”라고 전했다.

조현일·이진경 기자 conan@segye.com

ⓒ 세상을 보는 눈, 세계일보 & Segye.com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