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29 (토)

금호타이어 법정관리行 초읽기…노사 마지막 선택은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노조 "해외매각 철회가 먼저"…오늘 채권단 회의서 처리방안 논의]

머니투데이

금호타이어 중앙연구소/사진제공=금호타이어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금호타이어가 '운명의 날'을 맞이했다. 채권단은 28일 실무책임자 회의를 예고하고 "모든 실행 가능한 처리 방안을 수립할 계획"이라고 경고했다. 노사가 경영정상화를 위한 자구계획안 합의를 도출하지 못하고 있어서다. 노사에 '데드라인'을 제시한 셈이다.

채권단은 이날 오후 금호타이어 처리 방안 논의를 위한 실무책임자 열 계획이다. 채권단은 “노사간 자구계획 이행을 통한 경쟁력 확보 등의 조치가 없는 한 금호타이어는 계속기업으로서 존속이 사실상 어렵다”며 이 같이 밝혔다.

'모든 조치'에 대해 주채권은행인 KDB산업은행 관계자는 "산은 관계자는 “법정관리 등 고강도 조치는 물론 추가 채권 만기 연장 등 온건책까지 말 그대로 모든 방안이 논의 될 것”이라고 설명했다.

특히 이동걸 산은 회장은 전날 국회 정무위원회에서 “노조가 자구계획에 동의하지 않으면 회생시킬 방법이 없다”며 “모든 가능성에는 법원 절차도 포함돼 있다”고 답했다. 법정관리 가능성에 무게를 싣는 발언이다.

이는 금호타이어 채권단이 지난달 말 채권 만기 1년 연장과 외부자본유치 등을 결정하면서 노사간 경영정상화 MOU(이행약정서) 체결이 전제돼야 한다고 밝혔지만, 노조는 해외매각 철회 없이는 MOU 체결을 위한 자구안 협상도 없다는 입장을 고수하고 있기 때문이다 .MOU 체결 기한은 지난 26일로 이미 지났다.

채권단은 노사 합의를 무기한 기다릴 수 없다는 입장이다. 실제로 이날 실무책임자 회의에서 법정관리의 일종인 ‘P플랜’(프리패키지드플랜)의 논의 가능성이 높아 보인다. P플랜은 법정관리와 채권단 중심의 워크아웃을 결합한 기업구조조정 방식으로 법원이 강제 채무조정을 실시한 후 채권단이 신규 자금을 투입하는 방식이다.

다만 일각에선 이날 채권단 회의 직전까지 노사가 자구안에 극적으로 합의할 가능성을 기대하고 있다. 채권단 한 관계자는 “만일 법정관리 등을 선택하게 된다면 노사와 채권단, 지역사회 등 모두에게 파국이 될 것”이라며 “채권단이 해외 매각 시 먼저 노조와 협의를 거치겠다는 입장을 밝힐 만큼, 이를 신뢰하고 노조가 현명한 판단을 내리길 바란다"고 말했다

변휘 기자 hynews@

<저작권자 ⓒ '돈이 보이는 리얼타임 뉴스' 머니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