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29 (토)

금호타이어 자구안 합의 무산… 법정관리 가나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노사 본교섭 입장차 못 좁혀 / 이사회 하루 늦춰 27일 개최

세계일보

금호타이어 노사가 채권단에서 제시한 경영정상화 계획(자구안)을 둘러싸고 진통을 겪고 있다. 노사 합의 불발로 매각작업이 좌초되면 금호타이어가 법정관리에 돌입할 수 있다는 우려가 나오고 있다. 미국 제네럴모터스(GM)의 한국사업장 구조조정에 이어 대량실업 등 지역경제에 또 다른 악재가 터지는 셈이다.

금호타이어 노사는 26일 ‘경영정상화 방안에 대한 본교섭’을 진행했지만 입장차를 좁히지 못해 이사회를 27일로 연기했다. 채권단도 “하루 정도는 기다리겠다”는 의견을 밝힌 것으로 전해졌다. 하루를 벌었지만 결과가 어떨지는 미지수다.

앞서 채권단은 금호타이어에 이날까지 ‘충분하고도 합당한 수준의 자구노력과 이행’을 약속하는 이행약정서(MOU)를 체결할 것을 요구한 바 있다. 1조3000억원 규모의 차입금을 1년 연장해 주고 이자율 인하 등 유동성 대책을 마련해 준 데 대한 전제조건이다. 이에 노사는 작년 12월부터 △경쟁력 향상 방안 △경영개선 절차 기간 임금동결 △임금체계 개선 및 조정 △임금 피크제 시행 △복리후생 항목 조정 등을 담은 자구안을 놓고 협상해 왔다. 비교적 순조롭게 진행되던 협의는 중국 더블스타로 매각 재추진설이 흘러나오면서 파행을 겪고 있다. 노조 측은 “해외매각은 결사반대”라며 “이에 대한 사실관계부터 확인해 달라”고 맞서고 있다.

이대로 약정서 체결에 실패하면 채권 만기 연장은 효력이 상실된다. 산업은행 관계자는 “채권단이 추가로 만기 연장을 해주지 않으면 디폴트(채무불이행)가 날 상황”이라며 “단기 법정관리인 ‘P플랜(프리패키지드플랜)’ 적용 등 후속절차를 논의할 수밖에 없다”고 말했다. 이 관계자는 “27일 이사회 결과에 따라 추후 방안을 논의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채권단은 법정관리 수순으로 갈 경우 막대한 부실이 발생하기 때문에 고심하고 있다. 게다가 주채권은행인 산업은행으로서는 한국GM사태까지 불확실한 상황이어서 부담이 가중되고 있다.

금호타이어 국내 사업장은 광주와 전남 곡성, 경기도 평택 등 공장 3곳에서 5040명(2017년 기준)을 고용하고 있다. 190여개 협력업체를 포함한 간접고용은 1만3000명에 이른다.

조현일·이진경 기자 conan@segye.com

ⓒ 세상을 보는 눈, 세계일보 & Segye.com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