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26 (수)

금호타이어 노사 합의 결렬…법정관리 가능성 커졌다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더팩트

금호타이어 노사는 26일 오전 '2016년 단체교섭 및 경영정상화 방안에 대한 본교섭'에 대한 논의를 진행했으나 입장 차이를 좁히지 못하며 합의점을 찾지 못했다. /김세정 인턴기자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더팩트ㅣ이성로 기자] 금호타이어 노사가 채권단이 정한 시한까지 경영정상화 방안에 합의를 끌어내지 못하며 법정관리로 들어갈 가능성이 커지게 됐다.

금호타이어 노사는 26일 오전 진행된 '2016년 단체교섭 및 경영정상화 방안에 대한 본교섭'에서 서로의 입장 차이만 확인한 뒤 합의점을 찾지 못했다. 노조가 해외 매각설에 크게 반발했다.

이날 안건은 지난 2016년부터 논의됐다가 부결된 잠정합의안 처리와 금호타이어 채권단이 요구한 자구계획안 등이다. 채권단은 이날까지 노사가 합의한 '경영정상화 계획 이행 약정서(MOU)'를 제출할 것을 요구했다.

하지만, 금호타이어 노사는 끝내 손을 잡지 못했다.

금호타이어 노조 측은 '해외 매각을 완전히 철회하면 경영정상화 자구계획안에 동의하겠다'는 뜻을 사측에 전달했다. 또한, 해외 매각에 대한 사실이 확인될 때까지 교섭을 진행하지 않기로 결정했다.

금호타이어는 노조의 무책임하고 위험한 결정에 심각한 유감을 표하며 경영정상화 방안 합의를 위한 노조의 입장 변화를 공식 촉구했다.

금호타이어 측은 "협상을 갑자기 중단하고 사실 확인이 되지도 않은 해외 매각 철회가 전제되지 않으면 합의하지 않겠다고 선언한 것은 사실상 경영정상화를 포기하고 법정관리를 선택한 것이다. 회사와 직원, 지역 경제를 더 큰 위기로 내모는 무책임하고 위험한 태도"라며 비판했다.

이어서 "지금은 회사의 생존과 지역경제의 안정이 최우선 목표가 돼야 하며 눈앞에 닥친 법정관리와 구조조정의 위기를 피하는 게 가장 시급하다. 한 내 노사 합의를 통해 노사가 함께 경영위기를 극복하고 경영정상화를 달성해 나가기를 희망한다"고 덧붙였다.

채권단은 지난달 26일 '충분하고도 합당한 수준의 자구노력과 이행 약속'을 전제로 차입금 1년 연장과 함께 이자율 인하 등 유동성 대책을 마련했다. 하지만, 노사는 서로의 이견을 좁히지 못하며 대립의 각을 세우고 있다.

금호타이어 노사 합의가 불발될 경우 회사는 채권단이 1년간 상환 연장해 준 차입금 1조3000억 원을 갚아야 한다. 또한 기업회생절차(법정관리)인 'p플랜(프리패키지드 플랜)' 적용 등 경영정상화 후속 절차를 밟게 된다.

금호타이어 채권단은 26일 오후 회의를 열고 금호타이어 매각 및 채권 만기 연장 등을 논의할 예정이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