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17 (월)

[쿡기자의 건강톡톡] 건강의 적 ‘나트륨’?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나트륨의 비밀을 아시나요?

쿠키뉴스

다이어트, 여성의 평생 숙제라고들 하지만 요즘은 남녀노소 가릴 것 없이 체중감량을 위해 다이어트에 관심을 보입니다. 미적인 이유도 있지만 대부분 건강상의 이유 때문이죠. 전문가들은 다이어트의 가장 올바른 방법은 충분한 영양소 섭취와 꾸준한 운동, 장기적인 실천이라고 강조합니다. 그중에서도 운동2, 식이8 이라는 공식이 있기도 합니다. 운동도 중요하지만 식이도 무시할 수 없습니다. 실제 식이 조절 없이는 체중감량을 효과적으로 이뤄낼 수 없다고 합니다.
따라서 탄수화물 섭취를 제한하고 나트륨을 줄이는 저염식 혹은 무염식을 고집하는 경우도 있습니다. 쌀이 주식인 한국인에게 탄수화물 섭취 제한은 매우 당연한 것이지만, 그만큼 나트륨의 섭취 제한도 다이어트에 매우 중요한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국과 탕 위주의 식사를 하는 한국인의 경우 나트륨 하루 섭취량은 많은 편입니다. 따라서 이러한 식습관이 건강에 좋지 않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실제 우리나라 국민의 나트륨 섭취량은 4878㎎로 세계보건기구(WHO) 권장 하루 섭취량 2000㎎의 약 2배에 해당합니다. 소금으로 계산하면 2000㎎의 경우 대략 5g정도가 되는데 우리는 12g 이상을 하루에 섭취하는 것이죠. 이는 큰 밥숟가락 한 숟가락을 소복이 푼 양하고 맞먹습니다.
고려대 구로병원 가정의학과 김진욱 교수는 '나트륨 과다 섭취는 여러 질병으로 이어질 수 있어서 문제가 된다. 고혈압, 심혈관 질환, 위암 등 소화기 질환의 원인이 되고 신장 질환과 비만, 골다공증에 영향을 미친다'고 설명합니다.
이러한 여러 문제들 때문에 건강에 신경을 쓰는 사람이라면 식사 때마다 국이나 찌개, 김치, 젓갈류를 먹지 않고 나트륨 섭취를 극도로 제한합니다. 물론 이런 노력은 과도한 염분 섭취로 인해 유발되는 각종 질환을 예방하는 효과를 가져오기도 합니다.
김 교수는 '하지만 간과하면 안 되는 것이 하나 있다. 바로 '하루 권장 섭취량'이다. 세계보건기구가 권장하는 하루 소금 섭취량은 1티스푼 미만 2000㎎'이라며 '나트륨 하루 권장 섭취량은 보통의 건강한 성인이라면 따로 신경 쓰지 않더라도 식사를 통해 충분히 섭취 가능한 양이지만 저염식이나 무염식을 통해 극단적으로 소금 섭취를 제한한다면 체내 수분 보유량이 급격히 감소하고 여러 부작용을 유발할 수 있다'고 주의를 당부합니다.
이어 김 교수는 '나트륨 부족 증상은 심할 경우 저나트륨혈증, 사망에까지 이르게 만드는 원인이 될 수 있으니 주의가 필요하다'고 강조합니다.
저나트륨혈증은 몸 속 나트륨 농도가 낮아져 수분이 혈액 속 세포로 이동하게 되는 증상을 말합니다. 삼투압 현상은 농도가 낮은 쪽에서 높은 쪽으로 물을 이동시키는데 정상적인 경우라면 혈액 속 나트륨의 농도가 세포보다 높아 세포 안으로까지 수분이 따로 침투하지 않는다고 합니다.
그러나 나트륨 농도가 떨어지면 수분이 세포로 직접 침투하게 되면서 각종 이상증상이 나타나게 된됩니다. 구토, 설사, 과도한 발한 등의 증세가 대표적입니다.
나트륨은 체온 유지 기능을 담당하고 적혈구가 각 조직에 산소를 운반하며 노페물을 배출하는 것을 돕습니다. 적혈구는 혈액의 소금 농도가 0.9%로 유지될 때 제 기능을 한다고 합니다. 그런데 몸 속 나트륨 농도가 지나치게 낮아 이를 유지하지 못하게 되면 적혈구에 수분이 들어가 팽창돼 터져버릴 수 있습니다.
나트륨은 신경 전달을 담당합니다. 나트륨이 없으면 전위차가 발생하지 않아 인체의 어떤 기관도 제대로 작동하지 않습니다. 병원에서 신경전달 이상으로 발생하는 쇼크를 막기 위해 식염수를 주사하는 이유이기도 합니다.
이처럼 나트륨은 우리 인체에 없어서는 안 될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는 것이죠. 소금은 단순히 감미료로서 존재하는 것이 아닙니다. 우리 몸을 유지하기 위한 매우 중요한 성분 중에 하나입니다. 따라서 건강을 위해서는 지나친 것도 문제가 되지만 부족한 것도 문제가 된다는 것을 기억해야 합니다.
김진욱 교수는 '현실적인 건강식은 아예 소금을 먹지 않는 것이 아니라 줄여 나가는 것이다. 평소 먹는 식단에서 국물을 먹지 않거나 음식을 조리할 때 소금을 평소보다 조금 덜 사용하는 식으로 소금 섭취량을 조절하는 것이 바람직하다'라고 조언했습니다.
송병기 기자 songbk@kukinews.com

쿠키뉴스 송병기 songbk@kukinews.com
저작권자 © 쿠키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