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29 (토)

“외풍에 흔들리지 않는 연구기관 되겠다”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동북아역사재단 김도형 이사장

“위안부 강제동원 증명자료 발간”

경향신문

김도형 동북아역사재단 이사장(사진)은 “지난 4~5년 사이 재단이 진행하는 연구에 외풍이 심했다. 균형 잡힌 역사인식을 토대로 재단 설립 목적에 맞는 연구 사업에 집중하겠다”고 밝혔다. 그는 또 “일본군 ‘위안부’ 동원의 강제성을 증명하는 자료들을 집대성해 자료 목록집을 발간하고 관련 연구소 설립도 추진하고 있다”고 밝혔다.

연세대 사학과 교수로 지난해 11월 취임한 김 이사장은 22일 신년 기자간담회를 열고 재단 운영에 관한 포부를 밝혔다. 그는 재단이 겪은 ‘외풍’으로 상고사와 역사교과서 국정화를 둘러싼 논란을 거론하며 “상고사 연구와 관련해 재단이 유사역사학계에 휘둘린 것은 사실”이라며 “자유롭게 연구할 수 있는 여건이 정치적 압박으로 훼손되기도 했다”고 말했다. 그는 “재단에서 2년간 상고사 관련 토론회를 진행한 결과 학술적 합의점을 찾을 수 없었고 더 이상 하지 않기로 결론지었다”며 “앞으로 외부의 간섭 없이 재단이 자생적으로 가야 할 길을 가도록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김 이사장은 동북아역사재단의 중점 연구영역으로 동북공정과 고대사, 한·일 간 미해결 과거사, 독도 영토주권, 역사 화해 과정 등 네 가지를 뽑았다. 그는 “일본군 ‘위안부’·강제동원 피해 자료 연구소(가칭) 설립을 준비 중”이라며 “위안부나 강제동원에 관한 모든 자료를 모아 정리하고 공유하자는 취지”라고 밝혔다. 그는 또 고구려, 발해 유적 연구나 항일운동, 위안부 문제에서 남북 학술 교류를 추진할 계획이라고도 밝혔다.

2008년부터 추진했으나 현재 중단된 동북아역사지도 사업과 관련해서는 “한사군 위치 등 논란이 된 상고사 부분은 연기하더라도 지도에 텍스트를 병기하는 방법 등을 활용해 임기 내에 간행하는 것이 목표”라고도 말했다. 그는 아울러 “최근 평창 올림픽에서 NBC 기자 등의 발언을 보면 국제사회에 한국 역사가 아직 잘 알려져 있지 않다”며 국내외에 역사적 사실을 정확히 알리는 작업에도 노력을 기울이겠다고 말했다.

이날 김 이사장은 한국학중앙연구원, 국사편찬위원회, 독립기념관, 대한민국역사박물관 등 역사 연구기관 5곳의 수장들과 함께 정례 회동을 갖고 있다고 소개하기도 했다.

<김유진 기자 yjkim@kyunghyang.com>

▶ 경향신문 SNS [트위터] [페이스북]
[인기 무료만화 보기]
[카카오 친구맺기]

©경향신문(www.khan.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