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29 (토)

'골든 슬럼버'?…강동원 영화 원작 소설 관한 궁금증들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제목의 의미, 조지 오웰 '1984'와의 공통점 등

뉴스1

책 '골든 슬럼버' (특별판) 표지 (사진출처: 예스24)


(서울=뉴스1) 권영미 기자 = 강동원과 한효주가 출연한 영화 '골든 슬럼버'(감독 노동석)가 인기를 끌면서 일본의 소설가 이사카 고타로(伊坂幸太郎)가 쓴 동명 원작 소설(웅진지식하우스 출간)에도 관심이 쏠리고 있다.

국내 개봉된 영화는 이사카의 소설을 원작으로 일본에서 개봉되었던 영화를 리메이크한 것으로, '골든 슬럼버'라는 낯선 제목부터 궁금증을 자아내고 있다. 제목의 뜻과 미래의 디스토피아를 다룬 소설 '1984'와의 공통점 등 원작소설 '골든 슬럼버'에 관한 의문을 풀어보았다.

1. '골든 슬럼버'의 뜻은?

'골든 슬럼버'(Golden Slumber)는 영국 밴드 비틀스의 마지막 앨범 '애비 로드'에 수록된 곡으로 '황금빛 선잠' '황금빛 졸음'이라는 뜻을 갖고 있다. 전문가들에 따르면 이 곡에는 비틀스가 해체될 위기에 놓여있을 때, 멤버들을 다시 한 데 불러모으고 싶었던 작사·작곡가인 폴 매카트니의 마음이 담겼다고 한다.

보통 스릴러나 추격물에 삽입되는 긴장감 넘치는 노래와 달리 '한때는 집으로 돌아가는 길이 있었어/예쁜 아가, 울지 말고 자렴/ 그럼 내가 자장가를 불러줄게'라는 잔잔한 가사와 곡조다. 하지만 이 노래는 원작 소설과 영화를 관통하면서 주인공의 도피를 돕는 조력자들을 모으는 단서이자 장치로 중요하게 사용된다.

2. 조지 오웰 '1984'와 '골든 슬럼버'의 공통점은?

어느 날 낯선 여자가 취미를 물었다. 8년 만에 친구가 만나자는 전화를 걸어왔고, 보낸 이를 알 수 없는 우편물이 잇따라 도착했다. 지하철 안에서 난데없이 치한으로 몰렸고, 영문도 모른 채 무작정 내달렸다. 그리고 그날 이후 텔레비전은 그를 신임 총리 암살 사건의 용의자로 지목했다.

탁월한 운동신경도, 뛰어난 두뇌도 없는, 가진 거라고는 상대를 넘어뜨릴 밭다리후리기 기술밖에 없는 남자를 온 세상이 추격하고, 매스컴이 그의 일거수일투족을 들춰내며 범인으로 몰아간다. 첨단 정보사회에서 거대한 경찰국가의 음모에 휘말리는 주인공이 진실을 밝히기 위해 고군분투하는 3일 간의 모험이 '골든 슬럼버'의 내용이다. 그런데 1949년 발표된 소설인 조지 오웰의 '1984'와 어딘가 비슷하다.

뉴스1

소설 '1984'와 '골든 슬럼버' 표지(웅진지식하우스 제공)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1984'에서 독재자인 빅 브라더라는 인물은 기존의 영어를 '신어'(Newspeak)라는 새로운 언어로 교체하고 여론을 조작한다. 또 사람들을 감시하기 위해 수신과 송신을 동시에 행하여 어떠한 소리나 동작도 낱낱이 포착할 수 있는 '텔레스크린'이라는 장치가 사용된다. '1984'처럼 '골든 슬럼버'도 주인공의 일거수 일투족이 감시되고 조작된다. '시큐리티 포드'라는 감시시스템을 통해서다. 골든 슬럼버는 오락소설에 가깝지만 '개인을 감시하는 국가'에 대한 비판의식은 '1984'와 같다.

3. 작가 이사카 고타로는 누구?

이사카는 일본에서 사회 문제를 반영하는 대중소설을 잘 쓴다는 평가를 받는 중견 작가다. 1971년 생인 그는 2000년 '오듀본의 기도'로 제5회 신초 미스터리클럽상을 수상하며 등단했다. 그 후 대중문학에 주어지는 일본 최고상인 나오키상에 다섯 번이나 후보로 선정되고, 최초로 일본 서점대상에 5년 연속 후보로 오르는 등 발표하는 작품마다 큰 반향을 일으켰다.

'골든 슬럼버'를 포함해 여덟 편의 작품이 영화화됐으며, '그래스호퍼'를 비롯한 다섯 작품이 만화로 만들어졌다. 그 외에도 작품 다수가 연극, TV 드라마, 라디오 드라마로 재탄생했을 정도로 극적인 구성과 내용을 갖춘 작품을 쓰는 것으로 평가된다. 올해도 '액스'(AX)라는 신작이 일본서점대상 후보로 올라 수상 여부가 주목되고 있다.
ungaungae@

[© 뉴스1코리아(news1.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