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29 (토)

문체부, 3월부터 문화계 성폭력 상담·신고센터 운영한다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문화예술 전 분야 성폭력 실태 조사도 실시

뉴스1

연극연출가 이윤택이 19일 오전 서울 종로구 30 스튜디오에서 성추행 논란 공개 사과 기자회견을 하고 있다. 2018.2.19/뉴스1 © News1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서울=뉴스1) 박창욱 기자 = 문화체육관광부가 '연극계 대부'로 불렸던 이윤택 전 연희단거리패 예술감독의 성추행 논란을 계기로 문화예술계 성폭력 상담·신고 센터를 오는 3월부터 운영하기로 했다. 또 예술 전 장르에 걸쳐 전면적인 성폭력 실태 조사에 착수한다.

이영열 문체부 예술정책관은 20일 기자와 통화에서 "지난해 문학·미술 분야와 영화계 등 일부 분야를 대상으로 시범적으로 예술계 성폭력 실태 설문조사를 진행했다"며 "최근 성폭력 논란을 계기로 실태 조사를 전 장르로 확대하기 위한 방법과 예산, 절차 및 세부 내용을 검토하고 있다"고 말했다.

문체부는 이와 함께 주요 분야별 신고·상담 지원센터를 운영하기로 했다. 이 예술정책관은 우선 "예술인복지재단 내에 예술계 불공정신고센터가 있는데, 이를 활용해 이르면 3월부터 문화예술계 성폭력 상담·신고 센터를 설치해 여성 예술인들의 신고에 대응할 수 있을 것으로 본다"고 했다.

아울러 한국영화성평등센터 '든든'과 콘텐츠진흥원 내에 공정상생센터도 3월부터 설치하기로 방침을 정했다. 이와 함께 문화예술계 인사와 양성평등 전문가들로 구성·운영하고 있는 성평등문화정책위원회(위원장 이혜경)를 통해 성희롱·성추행 예방 및 대응을 위한 구체적인 방안 등을 논의한다.

법조계에서 촉발된 성폭력을 고발하는 '#미투'(#Metoo, 나도 말한다) 운동은 문단을 거쳐 연극계와 전통문화, 연예계 등 문화예술계 전반으로 거세게 확산되고 있다. 이 예술정책관은 "수사기관이 아닌 정부 부처는 행정적인 대책을 마련해야 한다"며 "예술계와 별개로 성 문제는 특수한 분야로 별도의 전문성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피해자의) 트라우마를 건드리면 안 되고, 2차 피해도 방지해야 한다"며 "여성 문제 주무부처인 여성가족부와 경찰청에서도 움직이고 있는 것으로 알고 있다. 종합적인 방안이 나오면 문체부 역시 적극적으로 협조할 계획"이라고 설명했다.

뉴스1

연극연출가 이윤택이 19일 오전 서울 종로구 30 스튜디오에서 성추행 논란 공개 사과 기자회견을 하고 있다. 2018.2.19/뉴스1 © News1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이윤택 논란을 계기로 연극계에서는 뒤늦은 자정 움직임이 일고 있다. 한국연극연출가협회와 서울연극협회는 지난 19일 이윤택씨를 최고 수준의 징계 차원에서 '제명'하기로 의결했다. 또 한국극작가협회는 전날 이씨를 제명한다고 발표했다.

한국연극연출가협회는 페이스북 공식 페이지에서 "이윤택씨를 영구제명하기로 의결했다"며 "연극계 부당한 권력과 잘못된 문화가 존재하도록 (협회가) 방치한 점에 대해 책임을 통감하고 깊이 반성하며 정중히 사과한다"고 밝혔다.

서울연극협회는 성명문에서 "지난 17일 긴급 이사회를 통해 이윤택 회원의 성폭력 사실을 묵과할 수 없는 심각한 범죄행위라 정의하고, 정관에 의거 최고의 징계조치인 제명을 결정했다"며 "사건의 조직적인 방조와 은폐의 배경이 된 연희단거리패에 대해서도 그 책임을 물어 '2018 서울연극제' 참가를 취소한다"고 했다.

한국극작가협회도 협회 홈페이지에 "이윤택의 권력을 악용한 사태를 묵과 할 수 없기에 정관 제2장 제9조에 의거 ‘제명’함을 밝힌다"며 "본 협회의 이름으로 (이윤택씨를) 문화예술위원회 심의위원에 추천한 건도 철회한다"고 했다.

한국여성연극협회도 연출가 이윤택의 성폭력 논란에 대해 이윤택씨를 연극계로부터 영구 제명해야 하며, 받은 모든 상은 취소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아울러 그의 진정성 있는 참회와 사과를 비롯해 사법적 절차가 함께 병행되어야 한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cup@

[© 뉴스1코리아(news1.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