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26 (수)

SKT, MWC서 5G 토종기술 해외 수출길 연다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 노키아, 시스코 등과 ‘5G-PON’ 솔루션 전략적 파트너십 체결

- 국내 강소기업 해외 진출도 본격화


[헤럴드경제=박세정 기자] SK텔레콤은 오는 26일(현지시간) 스페인 바르셀로나에서 개막하는 ‘모바일월드콩그레스(MWC) 2018’에서 글로벌 통신장비 기업인 노키아, 시스코 등과 5세대(5G)통신 핵심 기술 중 하나인 ‘5G-PON’ 솔루션의 전략적 파트너십을 체결할 예정이라고 20일 밝혔다.

‘5G-PON(5G-Passive Optical Network)’은 안테나, 중계기 등 건물 단위 기지국(RU)과 동 단위 통합기지국(DU)을 연결하는 유선 전송망(프런트홀, Fronthaul) 구간에 적용되는 솔루션이다.

헤럴드경제

SK텔레콤 관계자들이 5G-PON 솔루션 장비를 설치하고 있다. [제공=SK텔레콤]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5G-PON’ 솔루션이 적용되는 건물 단위 기지국, 동 단위 통합 기지국 구간을 사람의 몸에 비유하면, 피를 신체 구석구석까지 공급하는 모세혈관에 해당한다.

‘5G-PON’ 솔루션을 적용하면 도서, 산간 지역의 서비스 품질 향상을 기대할 수 있다.

기존 유선 전송망 장비는 전력 공급을 위해 건물 내부에 설치해야 하는 반면 ‘5G-PON’은 전원 없이 작동해 실외 설치가 용이하다.

이러한 장점을 기반으로 건물이 드문 산간, 도서 지역에서도 촘촘하게 무선국을 설치하고 전송망 최적화로 품질을 높일 수 있다고 회사 측은 설명했다.

이와함께 SK텔레콤은 이번 MOU로 광 통신 등 5G 분야 기술을 보유한 국내 강소기업들의 해외 진출도 본격화한다.

‘5G-PON’ 솔루션 개발에는 쏠리드, HFR, 코위버 등 국내 통신장비 강소기업들이 참여했다.

SK텔레콤과 HFR은 지난 2016년 LTE 전용 프론트홀 솔루션 링먹스(RingMUX)를 버라이즌에 수출한 바 있다.

또 SK텔레콤은 작년 9월 국내 강소기업과 ICT 연합군을 구축, 인도 바르티사에 인공지능(AI) 네트워크 솔루션 수출 계약을 체결하는 등 우수한 네트워크 기술력을 기반으로 해외 진출을 추진해 나가고 있다.

강종렬 SK텔레콤 ICT 인프라센터장은 “고객에게 가장 안정적인 5G 통신을 제공하기 위해 혁신적인 네트워크 기술 확보에 전념하고 있다”며 “국내 강소기업과 손잡고 전 세계에서 가장 앞선 5G를 선보일 것”이라고 밝혔다.

sjpark@heraldcorp.com

- Copyrights ⓒ 헤럴드경제 & heraldbiz.com,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