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26 (수)

[사설]GM 사태, 시장논리로 풀어야 부작용 최소화할 것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문재인 대통령은 어제 한국GM 군산공장 폐쇄로 지역경제가 입을 타격을 우려하며 “산업위기 대응 특별지역과 고용위기 지역 지정 등 가능한 대책을 적극 검토하라”고 지시했다. 더불어민주당은 태스크포스(TF)를 구성해 “돈만 벌려는 글로벌GM 전략에 한국GM이 희생됐다”며 공장 폐쇄를 수용할 수 없다고 비판했다. 자유한국당은 ‘강성 귀족노조’인 한국GM 노조가 이번 사태 책임의 한 축이라고 지적했다. 바른미래당은 군산공장은 반드시 가동해야 한다고 주장했으며 민주평화당은 한국GM 군산노조를 면담하면서 호남 차별론까지 제기했다. GM 사태를 둘러싼 정치권의 해법이 쏟아지기 시작했다.

군산공장의 직간접 고용 인력은 약 1만3000명이다. 이들의 가족까지 포함하면 군산 전체 인구의 5분의 1에 이르는 5만 명 이상이 공장 폐쇄의 영향권에 있다. 이미 지난해 7월 현대중공업의 군산조선소 폐쇄로 일자리 5000여 개가 사라졌다. 연달아 실업 폭탄을 맞게 되는 군산 주민의 아픔과 고통은 말로 표현할 수 없을 정도일 것이다.

그럼에도 가동률이 20%에 불과한 군산공장 폐쇄를 무조건 반대하는 정치권의 논리로 이번 사태를 해결할 수는 없다. 미국 제너럴모터스(GM) 측의 군산공장 폐쇄는 근본적으로 ‘고비용 저효율’ 구조가 원인이다. 글로벌 컨설팅 회사인 올리버 와이먼이 전 세계 자동차공장의 생산성을 비교해 발표한 ‘2016년 하버 리포트’를 보면 군산공장이 자동차 한 대를 만드는 데 걸리는 시간(HPU)은 59.31시간으로 전체 148개 공장 중 130위에 그친다. 한국GM의 국내 시장 점유율이 7%대까지 떨어지고 4년 누적적자가 최대 3조 원에 이르는 상황에서도 임금은 매년 올라 2016년 기준 평균 8700만 원에 달했다.

일각에서는 한국GM의 실적 부진이 철수를 염두에 둔 본사 차원의 ‘의도된 경영 부실’이라는 시각도 있다. GM이 철수를 정당화하기 위해 한국GM에 부품을 비싸게 팔고, 고금리 대출을 해주면서 한국GM의 경영 실적을 지속적으로 악화시켰다는 것이다. 한국GM이 GM 본사에서 빌린 약 6200억 원의 만기가 이달 28일 돌아온다. 만약 GM 본사가 차입금 만기를 연장해주지 않고 상환을 요구한다면 한국GM의 정상화 대신 의도적인 철수 수순을 밟고 있다는 주장에 설득력이 실릴 수 있다.

GM과 협상에 나서는 산업통상자원부는 장기적인 생존이 가능한지를 기준으로 자금 지원 등을 결정해야 한다. 정부가 지방선거를 의식한 정치권에 휘둘려 미봉책으로 군산공장을 연명시키려 한다면 국가경제에 또 다른 부담을 줄뿐더러 지속 가능하지도 않을 것이다. 그렇게 된다면 생산성 향상을 위한 자구안 없이 “공장 폐쇄 불가와 현 경영진 사퇴”만을 외치는 노조는 반성은커녕 ‘버티면 정부가 살려 준다’는 그릇된 신호를 확산시킬 것이다. 자칫 2009년 정치권을 비롯한 외부세력이 개입하면서 우리 사회와 경제에 큰 상처와 손실을 안긴 뒤 2015년에야 정상화된 쌍용차 파업 사태와 같은 일이 반복될 수도 있다. 정부는 군산 경제에 미칠 파장을 면밀히 검토해 대책을 세우면서도 GM과의 협상은 시장논리에 따라 진행해야 한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