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소영 코리아중앙데일리 문화부장 |
그런데 나는 인면조가 고구려 고분 벽화의 충실한 재현이라는 것을 미처 알기 전부터 그 기이한 모습이 마음에 들었다. 원래 신화전설과 판타지영화 팬이라 그런 것 같다. 특히 『삼국유사』의 신비한 이야기들과 고대 중국의 괴수 백과사전 『산해경』을 좋아하기 때문에 인면조의 “낯설고 기괴한” 이미지에 거부감이 없었다.
Dancers perform during the opening ceremony of the 2018 Winter Olympics in Pyeongchang, South Korea, Friday, Feb. 9, 2018. (AP Photo/Christophe Ena)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오히려 이미 많이 나온 ‘한국적’ 모티프를 남발하는 게 더 문제다. 달항아리 성화대가 그런 면에서 아쉬웠다. “백의민족, 눈의 축제와 잘 어울린다”라는 호평도 물론 있다. 그러나 달항아리는 미학적으로 온유한 달과 물과 연결되곤 하는데, 그리고 화로·향로 같은 전통 불그릇도 있는데, 굳이 달항아리에서 불이 솟아오르게 해야 했을까. 게다가 미술사학자 최순우가 찬양한 달항아리의 둥그런 “원(圓)의 어진 맛”이 다섯 개의 기둥에 어색하게 연결돼 훼손되어버렸다. ‘가장 한국적’이라는 통념 때문에 달항아리를 성화대에 무리하게 적용한 게 아닌가 싶다.
한국 문화예술의 스펙트럼은 우리의 통념보다 훨씬 넓다. 기존의 ‘한국적’인 것에 얽매이기보다 몰랐던 것을 자꾸 찾아내야 한다. 기괴한 것도 포함해서 말이다. ‘기괴’는 정형의 균열이며, 그 틈새에서 상상력과 새로운 가능성들이 나오기 때문이다.
문소영 코리아중앙데일리 문화부장
▶모바일에서 만나는 중앙일보 [페이스북] [카카오 플러스친구] [모바일웹]
ⓒ중앙일보(http://joongang.co.kr) and JTBC Content Hub Co., Ltd.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