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26 (수)

연이은 악재… 금호타이어, 자구안 협상 ‘안갯속’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이투데이

광주시민사회·노동단체 등으로 구성된 ‘금호타이어 구조조정 저지 광주지역 공동 대책위원회’가 지난달 31일 광주 광산구 금호타이어 광주공장 앞에서 채권단 규탄 기자회견을 열고 “임금 체불을 담보로 구조조정·자구계획안 강요를 중단하라”고 촉구하고 있다. 뉴시스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연이은 악재… 금호타이어, 자구안 협상 ‘안갯속’

금호타이어 경영정상화 자구안 협상이 여전히 지지부진하다. 산업은행 등 채권단은 앞서 1조3000억 원의 차입금 만기 연장 조건으로 노사가 합의한 자구안 제출을 요구한 바 있다. 차입금 만기 연장 결정이 취소될 경우 법정관리나 매각 재추진 등의 조치가 예상되는 가운데, 악재가 겹쳐 노사 감정의 골은 깊어가는 모양새다.

실적은 악화 국면이다. 금호타이어는 9일 2017년 실적(잠정치) 공시를 통해 1569억 원의 영업손실을 기록했다고 밝혔다. 2016년(1200억 원) 대비 약 2769억 원 감소한 수치다. 매출액은 2조8774억 원을 기록해 전년 대비 2.4% 줄었다.

소송 패소로 인한 900억 원가량의 충당금 반영이 갑작스러운 손실의 배경이다. 금호타이어는 협력업체 근로자 132명이 정규직 지위 확인을 위해 낸 소송과 관련 작년 12월 최종 패소했다. 판결에 따라 소급 지급해야 하는 인건비와 추후 부담할 인건비 등이 충당금에 반영된 것으로 전해졌다. 실적 악화는 매각 추진에도 악영향을 끼칠 것으로 관측된다.

노사의 감정대립은 심화하고 있다. 12일 금호타이어 관계자에 따르면 9일 광주공장에서 근무하던 노동자의 팔이 절단되는 사고가 발생했다. 사고를 당한 직원은 생산직 근로자가 아닌 일반 사무직(관리직) 직원으로 알려졌다.

노조 관계자는 “사측이 생산직의 잔업과 특근을 무리하게 막는 바람에 발생한 사고”라고 주장했다. 이에 대해 사측은 “사고에 대해 책임을 통감한다”며 “당일 갑작스런 인력 부족으로 라인을 관리하던 책임자가 어쩔 수 없이 투입된 것”이라고 말했다. 사고로 인해 8일 예정됐던 임단협(자구안 협상 포함) 교섭은 12일로 연기됐다. 금호타이어 노사는 임단협 협상과 자구안 협상을 함께 진행하고 있다.

채권단이 언급한 자구안 제출 ‘데드라인’에 대한 시각도 양측은 사뭇 다르다. 노조는 사측이 채권단이 제시한 마감일을 핑계로 노동자의 일방적인 희생을 강요한다고 주장하고 있다. 채권단이 언급한 데드라인도 ‘겁주기’에 지나지 않는다는 입장이다. 그러나 금호타이어 사측은 “너무나도 안일한 생각”이라며 “모든 근로자가 1월 급여도 받지 못하는 등 정말 (사정이) 안 좋은 상황”이라고 말했다.

[이투데이/안경무 기자(noglasses@etoday.co.kr)]

▶프리미엄 경제신문 이투데이 ▶비즈엔터

Copyrightⓒ이투데이,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