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29 (토)

사투리까지 알아듣는 ‘AI 에어컨’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LG전자가 주인의 사용방식과 집안 환경을 스스로 학습하는 인공지능(AI) 에어컨 신제품을 내놓았다.
서울신문

송대현(왼쪽) LG전자 사장이 18일 2018년형 신제품인 ‘휘센 씽큐 에어컨’을 모델과 함께 소개하고 있다.LG전자 제공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LG전자는 18일 서울 여의도 LG트윈타워에서 ‘2018년형 LG 휘센 에어컨’ 신제품 발표회를 열고 자체 AI 플랫폼인 ‘딥싱큐‘(DeepThinQ)를 탑재한 ‘휘센 씽큐 에어컨’ 등 37종을 선보였다. 신제품에 적용된 AI는 사용자가 강한 바람으로 집안 전체 온도를 빨리 낮추는 것을 좋아하는지, 한여름에도 너무 차갑지 않은 온도를 선호하는지 등을 스스로 파악한다. 또 한낮에 실내가 시원해지는 속도가 느리고, 희망온도 도달 뒤 온도가 금방 다시 올라가는 남향집 등 집 자체의 특성을 학습해 가장 효율적으로 작동한다.

홈어플라이언스&에어솔루션(H&A) 사업본부장인 송대현 사장은 “작년에 처음 내놓은 AI 에어컨은 공간 학습만 가능했는데 올해는 상황 학습, 패턴 학습까지 가능해 사람이 생각하는 수준으로 지능화됐다”면서 “작년이 (AI 에어컨의) 원년이었다면 올해는 제대로 된 AI 에어컨이 대중화되는 해”라고 말했다.

LG전자가 올해 출시하는 모든 스탠드형 에어컨에는 이런 ‘AI 스마트케어’가 적용된다. 집주인의 사용패턴과 생활환경을 에어컨이 학습하는 시간도 획기적으로 줄였다. 스마트솔루션사업 담당 류혜정 전무는 “스마트케어를 적용한 뒤 약 4일만 지나면 에어컨이 학습 내용을 스스로 적용해 작동한다”고 설명했다.

기존 AI 제품에 적용됐던 음성인식 기능도 강화됐다. “LG 휘센”이라고 말한 뒤 “바람을 위로 보내줘”라고 말하면 바람 방향이 바뀐다. 정해진 명령어뿐 아니라 “더워”, “추워”라는 사용자의 자연스러운 반응도 인식한다. 각 지역의 다양한 사투리 억양도 알아듣는다. 가격은 200만~470만원 선이다.

김민석 기자 shiho@seoul.co.kr

▶ 부담없이 즐기는 서울신문 ‘최신만화’

- 저작권자 ⓒ 서울신문사 -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