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29 (토)

가격인상 어렵자 배달료 받고 쿠폰 없애고…소비자 피해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 최저임금 인상 후폭풍 / 시급 오른만큼 서비스質 뚝 ◆

매일경제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서울 마포에서 매운 닭발 요리를 파는 A매장은 올해 들어 고객에게 주문 배달료를 차등해서 받고 있다. 주문 액수가 1만5000~2만원 미만이면 2000원을, 2만~2만5000원 미만은 1000원의 배달료를 받는다. 작년까지는 1만5000원 이상 주문하면 무료 배달서비스를 제공했지만 이젠 2만5000원을 넘어야 배달료가 없다. 업체 측은 "최저임금 인상으로 인건비 부담은 커졌는데 음식 값을 올리기 힘드니 그동안 받지 않았던 배달료로 메울 수밖에 없다"고 말했다.

서울 성북구의 한 치킨프랜차이즈 업체도 올 초부터 주문 고객에게서 배달료로 1000원을 받고 있다. 인건비는 늘었지만 본사가 제품 가격 인상에 난색을 보이자 배달료를 받아서라도 손실을 보전하기 위해서다. 이곳 가맹점 대표는 "이달부터 오른 급여와 배달 대행료를 따져보니 1만6000원짜리 치킨을 팔면 880원이 남는 구조"라며 "손님이 할인쿠폰까지 얹어 주문하면 팔아도 남는 게 없다"고 하소연했다.

최저임금 인상에도 불구하고 제품 가격을 올리지 못하자 매장마다 공짜로 제공했던 서비스를 중단하는 등 다양한 비용 절감 방법들이 속출하고 있다. 최저임금 인상 후폭풍으로 매장 손실뿐만 아니라 소비자 편익이 줄어 사실상의 가격 인상 효과가 나타나고 있는 셈이다.

서울 목동의 한 배달 대행사는 "최저 시급과 오토바이 리스료(보험료) 인상으로 1.5㎞에 3000원이던 것을 3500원으로 올린다"고 통보했다.

인천의 한 업체는 기본 비용을 2800원에서 3000원으로 올리고, 학교나 병원 배달은 1층만 가능하다며 배짱을 부리기도 했다. 여의도의 치킨 프랜차이즈 가맹점 대표는 "지방 매장은 올 들어 2000원씩 배달수수료를 받고 있다"면서 "거리가 멀수록 비용이 추가된다"고 설명했다.

과거 공짜로 받던 부가 서비스도 사라지고 있다. 서울 강서구의 한 치킨 업체는 콜라를 무상 제공하던 것을 중단하고 병당 500~1000원을 받기 시작했다. 해당 업체 대표는 "예전에는 무나 소스를 추가로 요구하면 무료로 줬지만 이제 공짜는 없다"면서 "주변에서 유료화가 늘어나면 모두 따라갈 것"이라고 전했다.

커피나 빵집, 마사지숍 등은 할인 행사를 줄이고 있다. 서울 잠원동의 한 커피점은 10회 주문 시 1회를 공짜로 주던 스탬프 카드를 없애버렸다.

한 커피 프랜차이즈 본사도 판촉 행사를 축소하는 방안을 강구 중이다. 아침에 커피 하나를 사면 추가로 주는 '원 플러스 원'이나 시간대별 할인 행사를 줄이는 것이다. 회사 측은 "가맹점마다 최저임금 인상으로 월 30만~40만원 수익이 감소하는데 본사가 물품 원가를 낮춰줘도 한계가 있다"면서 "가맹점 공통의 할인 행사 축소 등을 검토 중"이라고 말했다. 서울 명동에 있는 발 마사지숍은 오는 3월부터 10% 할인을 해주는 런치이벤트 시간을 '오전 11시~오후 2시'에서 '오전 11시~오후 1시'로 한 시간 단축했다. 할인 서비스도 모든 메뉴에서 1시간 이상 관리를 받을 때만 제공하기로 했다.

일부 음식점에선 주차장 발레파킹 비용도 오르고 있다.

서울 청담동의 한 고깃집은 이달 들어 발레파킹 요금을 2000원에서 3000원으로 인상했다. 해당 음식점 관계자는 "주차장 관리는 별개 업체가 운영하고 있다"면서 "주변 식당들은 작년 11월부터 주차비를 1000원씩 올렸고, 우리는 뒤늦게 따라간 것"이라고 밝혔다.

중소기업 현장에서는 인력 감축밖에 없다는 자괴감이 팽배해 있다. 경기도 시화산업단지의 자동차부품 업체 대표는 "현 정부 지원으로는 설비 투자와 인건비 인상을 동시에 진행할 수 없다"면서 "신규 설비 도입을 통한 혁신은 포기할 수 없는 만큼 높아진 인건비 부담을 줄여야 한다"고 강조했다.

[김병호 기자 / 백상경 기자 / 이영욱 기자]

[ⓒ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