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29 (토)

명품 소형가전 “어, 국산 아니네”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틈새시장 파고드는 해외 가전

다이슨 날개 없는 선풍기 등 돌풍

롯데하이마트서 작년 매출 2배로

전용매장 8개 … 연내 50개로 확대

일본 미용기기 1위 업체 야만

헤어드라이어 한국 시장에 진출

커피메이커·토스터기도 인기

중앙일보

롯데하이마트 잠실 월드타워점에 있는 다이슨 브랜드관. 외국 가전제품으로 독립 브랜드관을 가진 것은 처음이다. 다이슨 독립 브랜드관은 현재 8개 지만, 올해 안에 50개로 늘릴 예정이다. [사진 롯데하이마트]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중앙일보

다이슨 선풍기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롯데하이마트 본사가 있는 서울 대치점 지하 1층 가전매장은 올해 초부터 한가운데 36㎡(약 11평) 공간을 막고 공사 중이다. 날개 없는 선풍기와 명품 헤어드라이어·무선 청소기로 유명한 영국 브랜드 다이슨을 위한 독립 브랜드관이 들어설 자리다. 지난해 다이슨 가전제품의 매출이 급상승하자, 그간 종류별로 흩어져 있던 다이슨 제품을 한 자리에 모아 집중적으로 판매하겠다는 전략이다. 지난해 하반기부터 들어서기 시작한 롯데하이마트의 다이슨 전용 브랜드 관은 현재 전체 전국 460개 매장 중 8개에 불과하지만, 올해 안으로 50개까지 늘릴 예정이다.

해외 유명 프리미엄 가전업체들이 삼성·LG전자 등 대형 국내 가전업체들이 수익성이 떨어진다고 포기하거나 힘을 빼고 있는 소형가전 시장을 파고들고 있다. 혁신적인 기술력과 고급스러운 디자인으로 무장한 이들 업체의 프리미엄급 신제품에 눈이 높아진 한국 소비자들이 호응한 덕분이다.

다이슨이 대표적이다. 다이슨은 지난해 한국 청소기 시장의 판도를 바꾼 기업이다. 손잡이에 모터가 달린 60만~90만 원대 안팎의 상 중심 스틱형 프리미엄 무선 청소기를 한국 시장에 내놓으면서 매출이 급성장했다. LG전자와 삼성전자가 지난해 뒤늦게 다이슨 제품과 똑 닮은 상 중심 프리미엄 무선청소기를 내놓고 추격전을 벌이고 있다.

날개 없는 선풍기와 같은 원리를 채택한 50만원 안팎의 프리미엄 헤어드라이어 다이슨의 슈퍼소닉도 ‘대박’ 행진을 이어가고 있다. 롯데하이마트에서 판매된 다이슨 제품 매출은 2016년에 전년 대비 160%, 지난해에는 220% 급신장했다. 이 같은 성과에 영국 다이슨 본사는 지난해 말 한국법인 ‘다이슨 코리아’까지 설립하면서 본격적인 한국시장 공략에 나설 채비를 하고 있다.

중앙일보

야만 스칼프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일본 판매율 1위 미용기기 제조업체 야만도 15일 헤어드라이어 ‘야만 스칼프’를 한국 시장에 출시했다. 야만 스칼프는 일본 최대 온라인 종합몰 라쿠텐에서 드라이어기 판매 부문 1위에 오른 제품으로, 소비자가격이 25만원대인 준프리미엄 제품이다. 섭씨 60도의 저온풍과 원적외선, 음이온 기능을 통해 머릿결 손상을 최소화하는 ‘저온 드라이 모드’와 42도의 원적외풍에 분당 약 3700회의 온열 진동이 두피를 부드럽게 해 주면서 혈액 순환을 원활하게 해준다는 ‘스칼프 H모드’같은 고급 기능을 담았다. 반면 국내 소형 가전사들의 헤어드라이어는 대부분 기능도 단순하고 가격도 10만원 미만대다.

중앙일보

유라 E7 커미머신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이 외에도 다리미와 커피메이커·전기포트 등의 기타 소형 가전제품군은 대부분 네덜란드 필립스와 프랑스 테팔 등 차지하고 있어, 매장에서 한국 브랜드를 찾기조차 힘들 정도다. 신일산업·한일전기와 같은 기존 국내 전통 소형 가전사들은 소형가전을 프리미엄 시장 공략으로 뚫기보다는 가습기·난방기·선풍기 등 기존 제품군 중심의 중저가 모델에 치중하고 있다.

중앙일보

발뮤다 더 토스터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홈쇼핑에서도 해외 명품 바람이 뜨겁다. 롯데홈쇼핑의 생활가전 매출에서 외국 브랜드가 차지하는 비중은 30% 이상(2017년 기준)으로, 최근 3년간 매년 두 자리 수 이상 증가하고 있다. 일본 ‘소형가전 업계의 애플’로 불리는 발뮤다의 소형가전은 2016년 9월부터 현재까지 4만5000 개 이상이 판매되고, 주문 금액은 120억 원을 기록하고 있다. ‘발뮤다 더 토스터’의 경우 30만 원대 고가임에도 지난해 한 해 8회 방송 동안 7회가 매진되는 등 누적 판매량만 3만 개를 기록했다. ‘발뮤다 그린팬 선풍기’ 역시 40만원 대의 프리미엄 제품임에도 지난해 방송에서 4000개 이상 판매되며 매진을 기록했다. 이외에도 시중에서 100만원 대를 호가하는 이탈리아 유명 커피 머신 브랜드 ‘유라 E7 커피머신’는 월 6만원 대 렌털 상품으로 출시됐는데, 매회 방송에서 1000건 이상의 상담 건수를 기록하고 있다.

롯데하이마트 양동철 홍보부장은 “한국 기업이 강할 수밖에 없는 전기압력밥솥 등 일부 품목을 제외한 대부분의 소형 가전제품들에 대한 외국 유명 브랜드 의존도는 시간이 갈수록 높아지고 있는 게 현실”이라며 “국내 대형 가전업체들의 외면 속에 자본력이 약한 국내 중소 가전업체들이 연구개발(R&D)에 투자할 여력이 부족하면서 생기는 현상”이라고 진단했다.

최준호 기자 joonho@joongang.co.kr

▶모바일에서 만나는 중앙일보 [페이스북] [카카오 플러스친구] [모바일웹]

ⓒ중앙일보(http://joongang.co.kr) and JTBC Content Hub Co., Ltd.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