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26 (수)

한강 건너면 3억 오른다… 강남북 집값 격차 더 커져

댓글 4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강남 8억669만 vs. 강북 4억9090만

“강남 규제로 눌렀더니 용수철 효과”


[헤럴드경제=김성훈 기자] 부동산 시장 양극화 분위기 속에서 서울 한강 이남과 이북 지역의 집값 격차가 더 벌어진 것으로 나타났다.

15일 양지영 R&C 연구소가 KB국민은행 월간 주택가격동향 자료를 분석한 결과, 강남(11개구)의 평균 아파트 매매가격은 지난해 12월 기준 8억669만원으로 강북(14개구)의 평균 매매가 4억9090만원에 비해 3억1579만원 높았다.

헤럴드경제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강남북 격차는 최근 더 크게 벌어졌다. 2013년 12월에는 강남이 5억6989만원, 강북이 3억8110만원으로 1억8880만원에 불과했다. 4년 사이에 격차가 67%나 확대된 것이다. 특히 지난해에는 강남 아파트 매매가가 9000만원 가까이(7억1912만원→8억669만원) 오르는 사이, 강북 아파트 매매가는 절반에도 못미치는 4000만원(4억5292만원→4억9090만원) 상승하는 데 그쳤다.

강남북 격차 확대는 정부가 서울 집값을 잡기 위해 강남 위주 규제를 내놓은 것이 오히려 강남 집값 용수철 효과를 냈기 때문으로 분석된다.

양지영 R&C 연구소 측은 “8.2 부동산 대책 이후 매물의 희소성이 부각돼 적은 거래에도 값이 껑충 뛰어오르는 현상이 나타나고 있다”며 “강남 대기수요가 탄탄한데 정부는 오히려 공급을 막고 있어 강남ㆍ북의 집값 격차는 더 벌어질 수밖에 없을 것”이라고 지적했다.

반면 단독주택은 강북 상승세가 더 컸다. 강북의 평균 매매가격은 2013년 12월 5억5167만원에서 지난해 연말 6억5922만원으로 19.5% 올랐다. 반면 강남은 같은 기간 동안 7억6547만원에서 8억9802만원으로 17.3%가 올랐다.

최근 2~3년간 강북 재개발과 뉴타운의 탄력으로 단독주택 가치가 높아진 것이 이유로 꼽힌다. 서울시의 뉴타운 출구전략 등으로 낡은 단독주택을 매입해 리모델링 혹은 재건축 후 임대 및 시체차익을 노려는 개인사업자들이 늘면서 나타난 현상으로 분석된다.

paq@heraldcorp.com

- Copyrights ⓒ 헤럴드경제 & heraldbiz.com,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전체 댓글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