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7.01 (월)

국민-바른정당 통합 '급물살'..전당대회에 쏠린 눈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이언주·이태규, 정운천·오신환 '2+2' 통합 논의..내주중 통합추진위원회 출범

사회권 쥔 전당대회 의장..이상돈 의원 대표적 통합 반대파

통합 찬성파 "전대 소집권한은 당무위..온라인투표도 고려중"

통합 이후 후폭풍.."반대파는 통합당의 최대 계파될 것"

이데일리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이데일리 하지나 기자] 국민의당과 바른정당이 본격적인 통합 논의를 위한 ‘2+2’ 교섭 창구를 마련한데 이어 이번 주 중으로 ‘통합추진위원회’를 출범하는 통합 작업이 급물살을 타고 있다. 국민의당은 설 연휴 전인 2월 중순까지는 통합을 마무리하겠다는 계획이다.

하지만 향후 최종 통합에 이르기까지는 가시밭길이 예상된다. 안철수 국민의당 대표가 전당원투표를 강행하면서 바른정당과의 통합 절차를 밀어부치고 있지만 마지막 관문인 전당대회 개최가 아직 남아있는 상황이다.

통합 반대파는 전당대회 의장인 이상돈 의원에게 거는 기대가 크다. 이 의원은 대표적인 통합 반대파 의원이다. 이 의원이 전당대회 의장으로 있는 한 개회 선언과 투표 및 개표 선언 자체가 어려워 전당대회 진행이 어려울 것으로 내다보고 있다.

국민의당 한 관계자는 “전대의 사회권을 가지고 있는 의장이 진행을 거부하거나, 또는 이의를 제기하는 반대파 당원들의 발언권을 허용할 경우 제대로 전당대회가 이뤄지기 어렵다”고 내다봤다.

하지만 이에 대해 통합 찬성파는 전당대회 개최 여부는 당무위원회가 결정할 수 있다고 반박했다. 이태규 국민의당 의원은 이날 라디오에서 “전대를 소집하는 행위는 전당대회 의장이 맞지만 전당대회를 소집할 권한은 당무위원회에 있다”면서 “당무위원회가 기간을 정해서 소집을 의결하면 전당대회 의장은 그 소집을 집행해야 할 의무가 있다”고 강조했다. 그러면서 그는 “당직자가 정상적인 직무를 집행하지 않을 경우에는 다른 조치를 취할 수 있다고 생각한다”고 말했다. 당헌·당규에 따라 당원권 정지 등 징계절차를 통해 무력화시키고 의장 대행 가능성을 시사했다. 국민의당 당헌에 따르면 임시전당대회는 당무위원회의 의결이 있거나 재적 대표당원 3분의 1 이상의 요구가 있을 때 전당대회 의장이 2개월 이내에 소집한다고 되어 있다. 이어 기한을 정해 소집 요구를 하는 때에는 그 기한 내에 소집해야 한다고 명시돼 있다. 하지만 현재 부의장인 윤영일·이용호 의원 또한 통합 반대파라는 점에서 이 같은 방안 또한 한계가 있을 것이라는 전망이다.

통합 찬성파들은 온라인 투표를 통해 최대한 마찰을 피하는 방법 또한 고려 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안 대표 측 관계자는 “통합 반대파들은 옛날 전당대회만을 생각하는 것 같다. 굳이 특정 장소에서 전당대회를 할 필요가 없다”면서 “이중투표나 중복투표를 막기 위해 서면이나 대리인 투표는 안되지만 공인전자서명을 통한 온라인 투표는 가능하다”고 말했다.

하지만 더 큰 문제는 일방적인 통합에 따른 후폭풍이다. 국민의당과 바른정당이 합당에 이르더라도 여전히 당내 분란은 계속될 가능성이 크다. 통합 반대파의 한 관계자는 “합당을 하더라도 탈당할 의원들은 거의 없을 것”이라면서 “반대파들이 당내 최대 계파가 될 수 있다. 충분히 당을 주도할 수 있다”고 말했다.

한편, 이날 국민의당 이언주·이태규 의원과 바른정당 오신환·정운천 의원은 비공개로 모여 사전 협의를 가졌다. 정 의원은 회의 직후 기자들과 만나 “전당대회부터 창당까지 어떻게 할 건지 의견이 모이긴 했지만, 아직은 양측 대표에게 승인을 받아야 한다”면서 “승인 안된 것은 뒤로 보류하고 된 것은 내일 발표할 것”이라고 말했다. 현재 가장 유력한 합당 방식은 신설 합당 방식이다. 오신환 의원은 최근 라디오 방송에서 “당대당 단순 통합이 아니라 신당을 창당하는, 신설합당 방식의 통합 논의를 하고 있다”면서 “신당의 새로운 지도부와 새로운 구성들은 논의의 연장선상에서 다시 선출해야 한다고 생각한다”고 말한 바 있다.

<ⓒ종합 경제정보 미디어 이데일리 - 무단전재 & 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