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28 (금)

[MK #해시태그] 비트코인 러브스토리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매일경제

양유창 프리미엄부 기자


"심장이 두근거려 잠을 못 자요. 자꾸만 생각나서 계속 확인하게 돼요."

SNS에서 종종 언급되는 비트코인 투자자들의 증상은 사랑에 빠진 이들과 비슷하다. 눈앞에 아른거리지만 잡히지 않는다. 알랭 드 보통에 따르면 우리는 우리가 사랑하는 사람이 누구인지 잘 모르는 상태에서 사랑에 빠진다. 튤립부터 비트코인까지 버블의 역사도 그렇다. 잘 모르니까 환상을 쌓아간다. 심하면 집착으로 이어진다. '가즈아'라는 외침이 공허하게 들리는 이유다.

마이클 무어 감독은 자본주의 역사에 관한 다큐멘터리를 만들면서 부제를 '러브스토리'라고 달았는데 기실 돈의 속성이 사랑과 유사하다. 사랑(돈)에 배신당해본 사람은 사랑(돈)을 믿지 못하지만 사랑(돈)을 믿는 사람은 사랑(돈)에 뛰어든다. 하지만 영원한 사랑은 가상현실 속에만 존재한다. 비트코인 역시 그렇다.

시작은 아름다웠다. 2007년 금융위기로 각국의 화폐 가치가 출렁거리자 외풍에 흔들리지 않는 굳건한 세계 공용화폐가 필요하다며 사토시 나카모토(라고 주장하는 누군가)가 2009년 내놓은 암호화폐가 비트코인이다. 취지를 따르자면 비트코인은 어떤 화폐보다 안정적이어야 한다. 하지만 최근 비트코인보다 더 가치가 불안정한 화폐는 국가 부도 위기에 몰린 베네수엘라 볼리바르 정도를 제외하면 찾기 힘들다.

비트코인 투자 열풍은 유독 한국에서, 특히 젊은 층에서 강하게 불고 있다. 국내 암호화폐 거래소 빗썸이 지난달 이용자 4000여 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한 결과 20대와 30대가 각각 29%로 절반 이상을 차지했다. "비트코인은 등록금 걸고 하는 도박"이라는 어느 네티즌의 지적이 예사롭지 않게 들린다.

하지만 젊은 층에만 비난의 화살을 돌릴 것은 아니다. 부모 세대 역시 부동산 투기 환상을 좇지 않았나. "그때 강남 아파트 살걸" 하는 아빠의 푸념을 듣고 자란 아이들이 지금 20대가 된 것이니 말이다. 최근 신한은행은 20대가 서울에서 집을 사려면 월급을 한 푼도 안 쓰고 18년간 모아야 한다는 조사 결과를 발표했다. 어차피 취직도 안 되고 내 집 마련은 판타지일 뿐이니 돈 벌 방법이 있다면 뭐든 해보자는 심리가 청춘들을 비트코인으로 이끌고 있다는 분석이 더 현실적이다.

문제는 시세 조종 세력이 곳곳에 숨어 있다는 데 있다. 비트코인 플래티넘 하드포크(화폐 분할) 사기극이 벌어지는가 하면 텔레그램으로 펌핑앤드덤핑(일괄매수 후 매도)하는 작전세력이 등장했다는 정황이 포착되기도 했다. 정부가 뒤늦게 규제의 칼을 빼들었는데 이것이 득일지 실일지는 두고봐야 한다. 산업혁명 이래 자산 버블은 반복돼 왔다. 버블은 후유증을 남기지만 한편으로는 시대 변화를 앞당기는 계기가 된다. 18세기 미시시피 버블 붕괴는 프랑스혁명으로 이어졌고, 골드러시 이후엔 미국 서부가 급속하게 성장했으며, 닷컴버블이 꺼지고 나선 인터넷 세상이 왔다. 비트코인 버블이 잠잠해질 무렵 세상은 어떻게 변해 있을지 벌써부터 궁금하다.

[양유창 프리미엄부 기자]

[ⓒ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